-
[위클리 경제 스포] 두 달 연속 3%대 고물가…수출 10개월째 흑자 전망 ※ 위클리 경제 스포는 이번 주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은행 등 경제 부처 주요 일정을 한발 앞서 전달·분석해 주는 코너입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월에 이어 지난달에도 3%대 고공 행진을 지속한 것으로 보인다. 무역·통상 지표 발표도 앞두고 있는데 6개월 연속 수출 증가, 10개월 연속 경상수지 흑자 등 호조세가 이어졌을지 관심이다. 다만 들썩이는 국제 유가와 계속 우상향 중인 원·달러 환율이 물가·수출입 통계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제기된다. 1일 관련 부처에 따 2024.04.01 05:00
-
[위클리 경제 스포] 1월 출생아 수 2만명 넘길까…2월 제조업 생산 '눈길' 지난해 월별 출생아 수가 2만명대 아래로 떨어진 가운데 올 1월 출생아 수가 증가세로 돌아설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또 기업들의 체감 경기를 나타내는 각종 지수도 이번 주 중 발표될 예정이다. 24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통계청은 27일 '1월 인구동향'을 발표할 예정이다. 지난해 연간 출생아 수는 23만명으로 전년 대비 1만9200명(7.7%) 감소했다. 또 작년 12월 출생아는 1만6253명에 그쳐 1월에 반등할지 추이가 주목된다. 이어 통계청은 29일 '2월 산업활동동향'을 공개한다. 올 1월 기준 전산업 생산지 2024.03.25 07:00
-
[위클리 경제 스포] 혼인 12년 만에 반등할까…생산자물가 상승세도 '주목' ※ 위클리 경제 스포는 이번 주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은행 등 경제 부처 주요 일정을 한발 앞서 전달·분석해 주는 코너입니다. 이번주 출산의 선행 지표로 여겨지는 혼인 통계가 발표된다. 12년 만에 반등에 성공할지 관심을 모은다. 과일과 채소 등 농산물을 중심으로 고물가 기조가 이어지는 만큼 소비자물가의 선행 지표로 여겨지는 생산자물가지수도 이목을 끈다. 17일 관련 부처 등에 따르면 통계청은 19일 '2023년 혼인·이혼 통계'를 발표한다. 2011년까지 증감을 오고가던 혼인 건 2024.03.18 07:00
-
[위클리 경제 스포] 작년 사교육비 얼마나 썼나…2월 고용·대출 증가세 지속 ※ 위클리 경제 스포는 이번 주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은행 등 경제 부처 주요 일정을 한발 앞서 전달·분석해 주는 코너입니다. 이번 주에는 지난해 사교육비 총액이 발표된다. 고물가와 실질소득 감소가 사교육비 지출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지 주목된다. 2월 취업자 수는 두 달 연속 30만명대 증가, 은행권 가계대출은 11개월째 증가가 유력하다. 10일 관련 부처 등에 따르면 통계청은 오는 13일 '2월 고용동향'을 발표한다. 지난 1월 취업자 수는 석 달 만에 30만명대를 회복했는데 지난달에도 2024.03.11 07:00
-
[위클리 경제 스포] 2월 물가 다시 3%?...1인당 소득 소폭 늘 듯 ※위클리 경제 스포는 이번 주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은행 등 경제 부처의 주요 일정을 한 발 앞서 전달·분석해 주는 코너입니다. 지난 1월 2%대로 낮아졌던 물가 상승률이 지난달 3%대로 다시 올라서는 등 '끈적한' 물가 흐름이 재확인될 전망이다.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지난해 1인당 국민소득의 경우 20년 만에 역전을 허용했던 대만을 다시 넘어설 수 있을지 주목된다. 3일 관련 부처 등에 따르면 통계청은 오는 6일 '2024년 2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한다. 1월 2.8%로 둔화한 상승률 2024.03.04 0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