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뉴스
-
구름 운영 수도권ICT 인공지능 심화과정 수료생, 2025 블레이버스 해커톤 최우수상 수상 구름(goorm, 대표 류성태)이 운영하는 2025 ICT이노베이션스퀘어 디지털신기술 교육 사업의 인공지능 심화과정 수료생들로 구성된 ‘하이라이트’팀이 2025 블레이버스 MVP개발 해커톤 시즌2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ICT이노베이션스퀘어 디지털신기술 교육사업(이하 ICT)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주관하여 수도권과 전국 4대 권역(충청권, 동북권, 동남권, 호남권)에 걸쳐 인공지능(AI) 및 소프트웨어(SW) 인재 양성하는 사업으로 구름은 수도권과 호남권에서 디지털 신기술 교육을 2025-09-15 09:42:15 -
진에어, 인천~나고야 취항 2주년… 누적 탑승객 50만명 돌파 진에어는 인천~나고야 노선 첫 운항을 시작한 이후 올해 7월 말까지 약 2년 동안 누적 탑승객 50만명 이상을 수송했다고 15일 밝혔다. 진에어는 2023년 9월 15일 인천~나고야 노선을 취항, 이날로 2주년을 맞이했다. 현재 꾸준한 수요에 힘입어 매일 2회 운항 중이다. 인천공항(T2)에서는 매일 오전 7시 30분, 오후 4시 5분에 출발, 나고야공항에서는 오전 10시 40분, 오후 7시 15분에 출발하는 일정이다. 해당 노선 탑승객 수치를 보면 같은 기간 누적 탑승객 가운데 일본인 비중이 50%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2025-09-15 09:41:03 -
한국엡손, 무한잉크 프린터 '에코탱크' 3종 선봬 한국엡손이 정품무한 잉크 프린터 최초 양면 스캔·복사 기능을 탑재한 '에코탱크 프린터' 3종을 출시했다고 15일 밝혔다. 신제품 △L6370 △L6390 △L6391 모델은 흑백 기준 분당 최대 18매, 컬러 기준 분당 9매의 고속출력이 가능하다. 전작 대비 출력 속도는 1.2배, 내구성은 2배 강화됐다. 개선된 대용량 잉크탱크 시스템으로 출력 비용 또한 크게 줄였다. 출력 품질도 뛰어나 선명하고 번짐 없는 출력을 지원한다. L6370 모델이 버튼식 인터페이스의 출력·복사·스캔을 지원하는 양 2025-09-15 09:31:09 -
금호타이어, 오토노머스에이투지와 자율주행차 개발 '맞손' 금호타이어가 자율주행 기술 선두주자 '오토노머스에이투지'와 함께 전략적 협력에 나선다. 금호타이어는 에이투지와 지난 12일 금호타이어 본사에서 '자율주행차 미래형 타이어 기술개발 및 공급 업무 협약(MOU)'을 체결하고 자율주행차 개발 협력 및 스마트 타이어, 에어리스 타이어 공동 개발 및 공급을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 에이투지는 최근 글로벌 자율주행 기술 기업 순위에서 세계 11위에 오르며 국내 유일의 상위권 진입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금호타이어는 에이투지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2025-09-15 09:27:17 -
BYD코리아, 부산 동래 전시장·서비스센터 오픈 비야디(BYD)코리아는 BYD 오토 부산 동래 전시장과 서비스센터 오픈식을 진행했다고 15일 밝혔다. BYD코리아 공식 딜러사 DT네트웍스가 운영하는 이번 전시장은 부산 수영·창원 전시장과 사상 서비스센터에 이어 부산·경남 지역에 세 번째로 마련된 고객 접점이다. 부산광역시 최초로 판매, 서비스 및 부품까지 한 곳에서 통합해 관리하는 '3S(Showroom·Service·Spare parts)' 형태로 운영돼 해당 지역 고객들에게 더욱 편리한 서비스와 차별화된 브랜드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지 2025-09-15 09:14:45 -
네이버, 컬리와 손잡고 '컬리N마트' 그랜드 오프닝… 100원딜·반값 특가 시작 네이버가 오늘부터 ‘컬리N마트 그랜드 오프닝 위크’ 프로모션을 시작한다고 15일 밝혔다. 컬리N마트는 지난 4일 네이버플러스 스토어에 문을 연 온라인 프리미엄 장보기 서비스로, 네이버 인기 상품과 컬리의 프리미엄 신선식품을 새벽배송으로 다음날 아침까지 받을 수 있다. 네이버는 100원딜, 반값 특가, 포인트 적립 등의 혜택으로 단골 잡기에 박차를 가한다. 컬리N마트는 첫 구매 고객에게 3000원 웰컴 쿠폰을 제공한다. 15일부터 10월 31일까지는 ‘컬리N마트에서 한달살기’ 이벤트 2025-09-15 09:14:03 -
현대차 '더 뉴 아반떼 N TCR', TCR 월드투어 5라운드 우승 현대자동차가 '2025 TCR 월드투어' 5라운드 호주 대회 첫 번째 레이스와 두번째 레이스를 모두 석권하는 기염을 토하며 시즌 세번째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현대자동차는 '더 뉴 엘란트라 N TCR(국내명: 더 뉴 아반떼 N TCR)'이 14일(현지시간)까지 호주 테일럼 벤드에 있는 더 벤드 모터스포츠 파크에서 개최된 '2025 TCR 월드투어' 5라운드 우승을 차지했다고 밝혔다. 더 벤드 모터스포츠 파크는 약 85m의 고도 변화로 인해 기술적인 주행이 요구된다. 또 아스팔트 도로지만 바람이 강한 날에는 2025-09-15 09:02:42 -
LG U+, 삼성 스마트 TV에도 FAST 채널 공급 LG유플러스는 15일 자체 송출 시스템으로 삼성전자 스마트 TV 플랫폼인 ‘삼성 TV 플러스’에 FAST 채널 12개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9월부터 시청 가능한 채널은 JTBC, JTBC2 , JTBC4, MBN, 한국경제TV, 연합뉴스경제TV, 매일경제TV, MTN 머니투데이방송, 캐리TV, 더라이프2, K바둑, 아리랑TV 등 총 12개 채널로, 올해 내 순차적으로 시청 가능하다. FAST(Free Ad-supported Streaming TV)는 개방형 OS가 탑재된 스마트 TV에서 구독요금이나 시청료 없이 미디어 콘텐츠를 볼 수 있는 서비스다. IPTV, 2025-09-15 09:00:00 -
새솔테크, 100억 시리즈B 투자 마무리…AI·드론 보안 솔루션 글로벌 공략 가속 자율주행 및 커넥티드카 보안 전문기업 새솔테크(대표 한준혁)는 약 100억 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를 마무리 단계에 두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를 통해 글로벌 자율주행 및 드론 보안 솔루션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 이번 라운드에는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퓨처플레이 ▲에스벤처스 ▲HGI ▲유니온투자파트너스 ▲플랜에이치벤처스 ▲기업은행 등 주요 벤처캐피털과 기관이 참여했다. 특히 방산 모태펀드가 포함되면서 K-방산 분야 진출 기반을 마련했으며, LIG그룹 계열사 이노와이어리스의 전략적 투자로 V2X와 2025-09-15 09:00:00 -
현대차 노조, 임단협 찬반투표 시작 7년 만에 파업에 돌입한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 15일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 잠정 합의안을 두고 조합원 찬반투표를 시작했다. 현대차 노조는 이날 오전 6시부터 울산·전주·아산공장, 남양연구소 등 전국 사업장 노합원 4만2000여명을 대상으로 협의안 찬반 투표를 하고 있다. 노사 잠정합의안은 월 기본금 10만원(호봉승급분 포함) 인상과 성과금 450%+1천580만원, 주식 30주, 재래시장상품권 20만원 지급 등을 담고 있다. 아울러 통상임금 일부 확대와 국내 공장 고용안정, 생산 능력 강화 방안도 포함됐 2025-09-15 08:54:28 -
기아, 'The 2026 카니발 하이리무진' 출시… 편의사양 강화 기아는 '카니발 하이리무진'의 연식 변경 모델인 'The 2026 카니발 하이리무진'을 출시하고 본격 판매를 시작한다고 15일 밝혔다. The 2026 카니발 하이리무진은 편의사양을 강화해 고급감을 한층 높이고, 신규 트림 운영으로 고객의 선택 폭을 넓힌 것이 특징이다. 기아는 The 2026 카니발 하이리무진 후석의 21.5인치 스마트 모니터와 7인치 터치식 통합 컨트롤러(4인승 전용)에 ccNC 테마의 최신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적용하고, BOSE 프리미엄 사운드(12스피커, 외장앰프)를 선택사양으로 2025-09-15 08:44:51 -
넥센타이어, SBTi 온실가스 감축목표 승인 획득… "탄소중립 실현 앞장" 넥센타이어는 과학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SBTi)로부터 단기 온실가스 감축목표 승인을 획득했다고 15일 밝혔다. 넥센타이어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과학적 기준에 부합함을 입증한 결과다. SBTi는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세계자원연구소(WRI), 세계자연기금(WWF),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 등 4개 국제 기후 단체가 공동으로 설립한 협의체로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목표가 파리기후협정의 목표인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1.5℃ 이내로 제한하기 위한 기준'에 부합하는지를 과학적으로 검증 2025-09-15 08:20:11 -
6만 관중 열광한 아이콘 매치, 실드 유나이티드 2-1 역전승 전 세계 레전드급 축구 선수들이 총집결한 넥슨 ‘아이콘 매치’서 실드 유나이티드의 '방패'가 FC 스피어의 '창'을 2년 연속 부러뜨렸다. 실드 유나이티드는 14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2025 아이콘매치: 창의 귀환, 반격의 시작'서 후반 44분 터진 박주호의 역전 결승골을 앞세워 2-1로 이겼다. 공격수의 '창'을 상징하는 FC 스피어는 '두 개의 심장' 박지성과 '기관차' 개러스 베일이 좌우 풀백을 맡고 웨인 루니와 클라렌스 세이도르프가 중원에 2025-09-15 00:10:41 -
위아공작기계–한화로보틱스, 협동로봇 활용 자동화 MOU 체결 위아공작기계는 한화로보틱스와 '협동로봇을 활용한 공작기계 자동화 솔루션 분야 전략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스마트 자동화 시장 공략에 나선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MOU는 지난 11일 양사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체결됐으며, 공작기계와 협동로봇 기술의 융합을 통해 지속가능한 제조 경쟁력 강화와 자동화 솔루션 고도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위아공작기계는 과거 현대차그룹 생산라인 자동화 구성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벌 최고 수준의 자동화 역량을 구축해왔다. 여기에 최근 빠르게 2025-09-15 00:00:00 -
엔비디아 학습·추론 이원화...SK하닉·삼성전자 메모리 역량 극대화 6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4)를 두고 메모리 업체 간 경쟁이 본격화한 이유는 인공지능(AI) 메모리 주 고객인 엔디비아의 차세대 그래픽처리장치(GPU) '베라 루빈' 출시가 1년도 채 남지 않았기 때문이다. 14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HBM4 개발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글로벌 D램 시장에서 삼성전자(33.3%)를 제치고 시장점유율 1위(36.9%)에 오른 만큼 이 기세를 차세대 AI 메모리 시장에서도 이어가겠다는 입장이다. SK하이닉스는 2025-09-14 18:00:41 -
HBM4 국제 표준 만족 못하는 엔비디아...치고 나간 SK하닉, 쫓는 삼성, 고심하는 마이크론 엔비디아가 6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4)의 성능 기준을 높이면서 인공지능(AI) 메모리 1위를 수성하려는 SK하이닉스와 그 뒤를 쫓는 삼성전자 간 기술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 미국 마이크론도 HBM4 양산을 꾀하고 있지만 엔비디아의 높은 기준을 통과할지는 미지수다. 14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지난 12일 세계 최초로 HBM4 양산 체제를 구축했다며 제품 동작 속도를 10Gbps(초당 10기가비트) 이상으로 끌어올렸다고 밝혔다. 메모리 국제표준인 JEDEC 기준(8Gbps)보다 25%가량 더 빠르다. 이번 2025-09-14 18:00:00 -
美 관세·비자 변수에 수출전략 고심하는 韓기업들··· "불확실성 최고조"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를 계기로 한국 기업들의 고심이 커지고 있다. 배터리와 반도체 등 한국 기업들의 주요 사업 대부분이 미국 기업들과 소통이 필요한데, 한국 인력들의 '비자 리스크'가 불거지면서 향후 사업 불확실성이 커져서다. 이들은 당장 비자 문제 해결이 시급하다면서도 투자 다변화와 현지 고용 등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과 현대차를 비롯해 삼성전자, 삼성SDI, SK하이닉스 등 대규모 2025-09-14 18:00:00 -
EU 배터리 규제 지연…中 공세에 국내 3사 '유럽 수성전' 돌입 유럽연합(EU)의 배터리 규제 시행이 늦춰지면서 국내 배터리 업계가 '시간을 번' 듯 보이지만, 실상은 중국 공세가 거세지며 유럽 시장 주도권이 흔들리고 있다. 단순한 환경 규제가 아닌 사실상의 무역 장벽 속에서 한국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는 기술 경쟁력에 더해 탄소 경쟁력까지 갖추지 못하면 유럽 수출길이 막힐 수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EU는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배터리 규제법을 시행할 예정이었으나, 세부 지침 마련 지연과 회원국 2025-09-14 18: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