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뉴스
-
[NNA] 홍콩, 지난해 화재신고 5%↑, 경보 오작동 등 홍콩 소방처가 지난해 접수한 화재 관련 신고는 전년 대비 4.8% 증가한 3만 7828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화재경보기 오작동도 신고수 증가에 기여했다. 실제 화재건수는 5222건으로 전년보다 3.0% 증가했다. 가스레인지가 원인인 화재와 차량 화재, 용접 작업 시 발생한 불꽃이 원인이 된 화재 등이 다수 발생했다. 구급차 요청건수는 1.1% 증가한 78만 4243건. 이 중 96.1%가 목표로 하는 12분 이내에 현장에 도착했다. 소방처는 올 3월 홍콩에서 마카오, 중국 광둥성 구급대와 합동훈련을 실시할 계획이다. 통신사와 협력해 2025-01-31 14:49
-
[NNA] 中 사치품 시장, 올해는 지난해와 보합 미국 컨설팅 회사 베인앤컴퍼니가 발표한 중국의 사치품 시장에 관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판매액은 전년 대비 약 2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악화에 따른 소비심리 냉각 및 구매력의 해외유출 등이 주요 요인. 올해 판매규모는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손목시계, 어페럴, 보석품, 가죽제품, 화장품 등이 대상. 2024년 사치품 판매는 3분기에 부진이 가장 두드러졌다. 다만 4분기는 일련의 소비부양책의 영향으로 다소 회복됐다. 작년에는 해외여행 수요확대 등을 배경으로 해외에서 사치 2025-01-31 14:08
-
[NNA] 대만 5대 국영은행 12월 주택담보대출, 16년 만에 高수준 대만 중앙은행이 22일 발표한 5대 국영은행의 신규승인 주택담보대출의 지난달 평균금리는 2.224%로 전월보다 0.015%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12월 이후 16년 만에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3개월 연속 금리가 상승했다. 5개 국영은행의 12월 주택담보대출 신규대출액은 1004억 6700만 대만달러(약 4776억 8000만 엔)로 전월 대비 61억 1500만 대만달러(6.5%) 증가했다. 증가는 2개월 연속. 중앙은행은 대만(台湾)은행과 대만토지(台湾土地)은행, 합작금고상업(合作金庫商業)은행, 제일상업(第一商業)은행, 화남상업( 2025-01-31 13:23
-
[NNA] 日 레미디, 마히돌大와 임상실험 MOU 체결 일본의 헬스테크(의료와 IT를 활용한 서비스) 기업 레미디 앤드 컴퍼니는 감염증에 관한 임상시험 촉진을 위한 협력체제 구축을 위해 태국 국립 마히돌대학의 임상연구센터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마히돌대학 산하 시리랏병원의 ‘시리랏 인스티튜트 오브 클리니컬 리서치(SICRES)’와 지난달 17일 MOU를 체결했다. 이번 MOU 체결로 레미디 앤드 컴퍼니는 감염증 영역의 임상실험에서 국제품질 기준의 지원 및 뎅기열을 비롯한 ‘소외열대성질환(NTDs)’의 임상개발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2025-01-31 11:58
-
[NNA] ST 엔지니어링, 오만 스마트 시티 업무협약 체결 싱가포르의 방위・항공기 정비 기업인 싱가포르 테크놀로지(ST) 엔지니어링은 통신 인프라 회사와 오만의 스마트 시티 사업 관련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ST 엔지니어링의 어번 솔루션즈 부문이 광섬유망 정비 기업인 오만 브로드밴드 컴퍼니와 협력해 오만의 스마트 시티 개발을 위한 인프라 정비를 추진한다. 오만 브로드밴드 컴퍼니는 스마트 시티의 디지털 전환(DX)을 추진하기 위해 최신형 광섬유 인프라를 정비하며, 어번 솔루션즈 부문은 ST 컴퍼니가 강점을 지니고 있는 스마트 모빌리티, 스마트 유틸리티, 스마트 2025-01-31 10:25
-
[NNA] DMCI, 올해 광산 2곳 추가 필리핀 재벌기업 DMCI 홀딩스는 올해 산하 광업기업 DMCI 마이닝이 조업하는 광산을 전년보다 2곳 늘려 3곳으로 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연간 생산능력을 총 300만톤(WMT=Wet Metric Ton(젖은 상태 중량))으로 상향한다. 대상 광산 중 메트로 마닐라 잠발레스주 산타크루즈 광산은 이미 지난해 12월 조업을 개시했다. 올 3월까지 풀 가동될 전망이다. 환경적합증(ECC) 규정에 따라 연간생산량이 100만톤(WMT)으로 제한된다. 자회사 잠발레스 크로마이트 마이닝이 운영하게 된다. 팔라완주 아볼란의 롱포인트 광산에서는 자회사 베롱 2025-01-30 16:13
-
[NNA] 말레이시아 지난해 인플레이션율 1.8% 말레이시아 통계국이 22일 발표한 지난해 연간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1.8%로 전년(2.5%)보다 0.7%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년 연속 하락했다. 전년에 5.6% 상승한 외식・호텔은 3.1%로 상승률이 둔화됐다. 이 밖에 식품・비알콜음료가 2.0%(전년은 4.8%), 의료가 1.8%(2.2%), 교육이 1.5%(1.9%)로 상승률이 억제됐다. 2024년 12월의 CPI(2010년=100)는 133.4를 기록, 전년 동월 대비 1.7% 상승했다. 상승률은 전월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CPI를 구성하는 13개 항목 중 11개 항목이 전년 동월 대비 상승했다. 상승률 2025-01-30 11:09
-
[NNA] 미얀마 아라칸군, 정부군과 일진일퇴 공방 미얀마 서부 라카인주를 대부분 점령한 소수민족 무장세력 아라칸군(AA)은 라카인주와 인접한 지역과의 경계선 인근에서 미얀마군과 전투를 벌이고 있다고 지난 20일 밝혔다. 현지 언론은 아라칸군이 미얀마군을 추격해 인근지역으로 월경한 부대도 있다고 전했다. 아라칸군 공식사이트는 11일부터 중부 에야와디 지역과 마궤 지역과의 경계에서 미얀마군과 일진일퇴의 공방을 이어가고 있다고 지난 20일 밝혔다. 지난달 20일 미얀마군이 서부사령부를 배치한 안 군구 등을 함락했으며, 현재는 시트웨 주변에서 전투를 벌이고 있다. 공중 2025-01-28 16:14
-
[NNA] 현대車, 印 현지화율 92% 현대자동차 인도법인 현대 모터 인디아(HMIL)는 제조 현지화율이 최대 92%에 달했다고 밝혔다. 현대자동차는 1200종 이상의 주요부품과 전기차(EV)용 배터리팩을 현지에서 생산하고 있다. HMIL의 생산 현지화 노력에 따라 2019년 이후 6억 7200만 달러(약 1047억 엔)의 외화가 절약됐으며, 1400명 이상의 직접적인 고용기회가 창출됐다고 한다. HMIL과 현대모비스의 자회사 모비스 인디아는 HMIL이 인도 남부 첸나이에서 운영하고 있는 공장에서 배터리팩 현지조립을 개시했다. 1단계 연산능력은 7만 5000개. 이 공장에서 조립한 배터리 2025-01-28 11:32
-
[NNA] 페트로 라오, 베트남에 석유저장시설 설치 베트남 꽝빈성 경제구역관리위원회는 라오스 석유기업 페트로 라오가 꽝빈성 혼라경제구역에 설치를 계획하고 있는 석유저장시설 건설투자를 승인했다. 채굴한 석유를 혼라에서 내륙 라오스까지 송유관으로 수입한다는 계획. 토이바오킨테 온라인이 보도했다. 계획에 따르면 저장시설은 수입절차 전 외국화물을 보관하는 보세창고로 건설되며, 혼라항에서 라오스 중부 캄무안에 이르는 송유관도 건설한다. 용지면적은 9.36헥타르이며, 총 투자액은 5894억 동(약 36억 6000만 엔)이 될 전망. 올해 말 착공해 2027년 6월 완공을 목표로 하 2025-01-27 15:56
-
[NNA] 지난해 홍콩 공항 이용자 34%↑ 5305만명 홍콩공항관리국(AAHK)은 홍콩국제공항의 2024년 여객수(속보치)가 전년 대비 34.3% 증가한 연인원 5305만 4000명이라고 밝혔다. 화물수송량은 14.0% 증가한 493만 8000톤, 항공기 발착횟수는 31.6% 증가한 36만 3305회를 기록했다. AAHK는 지난해 11월부터 3개 활주로 시스템이 가동됨에 따라 전체 수치를 견인했다고 분석했다. 12월의 여객수는 전년 동월 대비 18.3% 증가한 510만 6000명. 동남아시아, 중국 본토, 일본의 각 노선 증가가 두드러졌다. 전월 대비로는 15.0% 증가했다. 화물수송량은 전년 동월 대비 6.6% 증가한 44만 6 2025-01-27 13:41
-
[NNA] 中, 춘제 펫 상품 인기... 펫용 녠예판도 완판 애완동물 붐이 일고 있는 중국에서 춘제(春節, 올해는 1월 29일) 관련 펫 상품이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광둥성 광저우시의 한 펫샵은 펫을 위한 '녠예판(年夜飯, 섣달그믐날 저녁 온 가족이 모여서 함께 먹는 음식)' 세트를 168위안(약 3600엔)에 판매했으나 판매개시 직후 전량 판매를 기록했다고 한다. 뉴스사이트 졔몐신원(界面新聞)이 보도했다. 전자상거래 사이트 '타오바오(淘宝)'는 춘제를 모티브로 한 강아지용 코스튬 검색수가 약 6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미용 서비스 예약도 증가하고 있다. 상하이시에는 서 2025-01-27 11:32
-
[NNA] 연말연시 태국 국내선 항공운임 하락... 좌석공급 확대로 수리야 증룽르엉낏 태국 교통부 장관은 연말연시(2024년 12월 26일~2025년 1월 5일)에 실시한 국내선 좌석공급 확대 효과로 평균 항공운임이 하락했다고 밝혔다. 방콕-치앙마이 노선은 전년 동기 대비 11.5% 하락했다. 태국민간항공청(CAAT)에 대해 다가오는 4월의 태국 설(송끄란)에도 이와 같은 조치를 취하도록 지시했다. CAAT는 태국 항공사가 연말연시에 당초 계획보다 여객편 수를 늘릴 수 있도록 대형 항공기 투입을 지원, 좌석수를 약 7만석 늘리는데 성공했다. 항공운임은 방콕-치앙마이 노선의 경우 전년 동기의 평균 2729바트 2025-01-27 09:48
-
[NNA] 컬트 푸드 사이언스, 싱가포르 등 펫푸드 수주 캐나다의 세포배양식품기업인 컬트 푸드 사이언스는 애완동물용 식품 제조・판매 자회사 퍼더푸즈가 싱가포르와 유럽, 캐나다 판매업자로부터 식물유래 펫푸드를 수주했다고 밝혔다. 수주한 것은 퍼더푸즈의 펫푸드 브랜드 ‘누치스(Noochies)!’ 제품. 닭고기나 소고기 등 기존 동물성 식자재를 사용한 펫푸드와 달리 친환경・고영양의 독자개발 식물성 원자재를 사용한 동결건조 제품이다. 컬트 푸드 사이언스는 “싱가포르, 유럽, 캐나다 등에 판매하게 된 것은 지속가능하고 고품질의 펫 영양에 대한 세계적인 2025-01-24 18:28
-
[NNA] 필리핀 미탈곡미 생산, 올해 역대 최고 필리핀 농업부는 2025년 연간 미탈곡미 생산량이 역대 최고가 될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했다. 생산목표를 2046만톤으로 설정했으며, 2023년의 2006만톤을 웃돌 것으로 보인다. 프란시스코 티우 라우렐 농업부 장관은 마르코스 대통령이 쌀 생산을 위한 100억 페소(약 266억 엔)의 예산을 부활시킴에 따라 2025년의 생산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 실천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해 미탈곡미 생산량(잠정추정치)은 1930만톤에 그쳤다. 지난해 초의 엘리뇨 현상에 따른 가뭄과 하반기 라니냐 현상에 따른 홍수로 농가가 큰 피해 2025-01-24 17:58
-
[NNA] 말레이시아 자동차협회와 자동차연구소, 전시회 개최 협력 말레이시아자동차협회(MAA)와 투자무역산업부 산하 말레이시아자동차로보틱스IoT연구소(MARii)는 자동차 전시회 개최에 관한 업무협약을 21일 체결했다. 앞으로 교대로 1년 간격으로 전시회를 개최해 나가기로 했다. 자동차협회는 ‘쿠알라룸푸르 국제 모빌리티 쇼(KLIMS)’를, MARii는 ‘말레이시아 오토 쇼(MAS)’를 각각 개최하고 있다. 양자는 앞으로 전시회를 따로 개최하거나 협약에 따라 2025년부터 28년까지는 상호 개최해 나가기로 했다. 자동차 제조사가 보다 유연하게 행사계획과 참가준비를 할 수 있 2025-01-24 17:23
-
[NNA] 미얀마 군정, 온라인 사기 외국인 5.5만명 송환 미얀마 군사정부는 2023년 10월 5일부터 2024년 1월 13일까지 중국과 태국 국경에서 온라인 사기에 관여한 외국인 5만 5711명을 모국으로 송환했다고 미얀마 정보부가 21일 밝혔다. 군사정부에 따르면, 동 기간에 중국과 접한 북동부 샨주 라우카잉과 무세, 태국과 접한 샨주 타칠렉과 동부 카인주 미야와디 등의 국경지역에서 발견돼 본국으로 송환된 외국인 국적은 ◇중국 5만 3388명 ◇베트남 1149명 ◇태국 648명 ◇말레이시아 142명 ◇인도 96명 ◇스리랑카 60명 ◇인도네시아 38명 ◇에티오피아 29명 ◇네팔 26명 ◇라오스 22명 ◇대만 21 2025-01-24 16:39
-
[NNA] 진에어, 지난해 영업이익 8.5%↓ 저비용항공사(LCC) 진에어가 20일 발표한 지난해 실적은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8.5% 감소한 1667억 원(약 180억 엔)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은 14.4% 증가한 1조 4613억 원으로 창사 이래 최고를 기록했다. 순이익은 25.3% 감소한 1000억 원. 순이익의 대폭 감소 요인에 대해 진에어는 달러강세 장기화와 원유가격 상승의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분기별로는 2022년 4분기부터 9개 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국토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진에어의 국내선・국제선 탑승자 수는 12% 증가한 1103만명으로 역대 최 2025-01-24 1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