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뉴스
-
[NNA] 中 부동산 주요 기업 상반기 판매, 약 12%↓ 중국 부동산 정보 서비스업체 커얼루이(克而瑞)연구센터(CRIC)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국 주요 부동산업체 100곳의 주택 판매액은 1조 6526억 8000만 위안(약 33조 3000억 엔)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도 같은 기간 발표된 1조 8518억 3000만 위안에 비해 10.8% 감소한 수치다. 6월 한 달간의 판매액은 전월 대비 14.7% 증가한 3389억 6000만 위안으로, 올해 들어 한 달 기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 중 약 60%의 기업은 전월보다 실적이 호전됐다. 다만 6월 판매액은 전년 동월에 비해 22.8% 감소했으며, 이는 최근 고점이었던 2021 2025-07-09 15:22
-
[NNA] 비그림, 이태리 축전기업 인수 독일계 재벌 비그림(B.Grimm)의 산하기업인 태국의 발전회사 비그림 파워는 이탈리아에서 이차전지 기반 전력저장시스템(BESS)을 개발하는 '아풀리아 그린 에너지 01'을 인수했다고 밝혔다. 인수 금액은 1만 유로(약 169만 엔). 이번 인수는 자회사인 'RES 컴퍼니 시칠리아'를 통해 이뤄졌으며, 이탈리아의 재생에너지 기업 LT 서비스로부터 아풀리아의 발행주식 100%를 취득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아풀리아는 이탈리아 남부지역에서 21만 8000kW 규모의 에너지 저장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또한 RES컴퍼니와 LT 2025-07-09 15:00
-
[NNA] NTT 파이낸스, 광무선통신 회사에 출자 일본 NTT의 금융 자회사인 NTT 파이낸스는 광(光)무선통신 기술을 개발하는 싱가포르 기업 ‘트랜스셀레스티얼 테크놀로지스’에 출자했다고 발표했다. 이 회사의 기술이 향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는 설명이다. NTT 파이낸스의 출자는 지난 3월 말 이뤄졌으며, 구체적인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2016년에 설립된 트랜스셀레스티얼은 레이저를 활용한 광무선통신 기술 및 장비를 제공하고 있는 스타트업. 광무선통신은 기상 조건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단점이 있으나, 이 회사는 레이저 출력 2025-07-09 14:07
-
[NNA] 필리핀 에너지부, 원전 개발 행정 지침 공개 필리핀 에너지부는 원자력 발전소의 상업적 개발을 실현하고 이를 국가 전력원 구성에 포함하기 위한 정책적 틀을 담은 행정지침을 공표했다. 행정지침은 네 가지 기본 방침을 제시하고 있다. ▲전력 공급원 다변화와 안정성·신뢰성 제고를 통해 에너지 안보 확보에 원전이 기여할 것 ▲온실가스 배출 감축 추진 ▲원전을 송전망에 통합하기 위한 송·배전 인프라 정비 ▲전기요금 억제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았다. 상업 운전을 목표로 하는 첫 원자력 발전소는 저렴하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기저부하 전원으로 2025-07-09 13:55
-
[NNA] 말레이시아 6월 소비자신뢰지수, 전월 대비 하락 프랑스 여론조사회사 입소스가 발표한 월간 보고서 '2025년 6월 세계 소비자신뢰지수'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의 소비자신뢰지수는 55.7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2.7포인트 상승한 수치지만, 전월에 비해서는 3.9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말레이시아는 조사 대상 30개국 중 세 번째로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30개국 평균은 48.2였다. 국가별로는 인도네시아가 61.1로 1위를 차지했고, 이어 △인도(59.0) △말레이시아 △싱가포르(55.1) △멕시코(54.2) △스웨덴(54.1) △미국(53.4) △네덜란드(52.5) △브라질(52.1) △영국(52.1) 2025-07-09 12:31
-
[NNA] 캄보디아 기업, 中 하이얼과 친환경 공단 개발 캄보디아의 부동산 서비스 기업인 SAM SN그룹은 중국 최대 가전업체 하이얼(海爾) 그룹과 협력해, 캄보디아에서 친환경 산업단지 및 공장 개발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양사는 지난달 27일 관련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크메르 타임스(온라인)가 보도했다. MOU는 SAM SN그룹의 삼 속룬 회장이 중국 산둥성 칭다오시의 하이얼 그룹을 방문한 자리에서 체결됐다. 삼 속룬 회장은 하이얼 외에도 싱가포르 기업 두 곳과도 캄보디아 내 친환경 산업단지 조성과 공장 건설 협력에 뜻을 모았으며, 이들 기업과 각각 사업화 조사 지 2025-07-09 10:44
-
[NNA] 印 아쇼크 레이랜드, 트럭 200대 수주 인도의 상용차 제조사 아쇼크 레이랜드는 현지 물류업체인 인스턴트 트랜스포트 솔루션으로부터 트럭 200대를 수주했다고 발표했다. 이 가운데 100대는 이미 인도된 상태다. 아쇼크 레이랜드는 이번에 단축(單軸) 대형 트럭과 다축(多軸) 트랙터 트럭 등 총 100대를 납품했다. 산지브 쿠마르 아쇼크 레이랜드 사장은 발표 자료를 통해 “이번 수주는 고객의 신뢰도가 높다는 것을 증명한 것”이라며, “양사 간 협력은 보다 효율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물류 시장 형성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인스턴 2025-07-08 17:32
-
[NNA] 印尼 반둥고속철, 누계 승객 1000만명 돌파 인도네시아-중국 고속철도회사(KCIC)는 수도 자카르타와 서자바주 반둥을 연결하는 반둥 고속철도 ‘우쉬(Whoosh)’의 누적 승객 수가 지난달 25일 기준으로 1000만 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우쉬는 2023년 10월 17일 상업 운행을 시작한 이후 현재까지 총 2만 9786편이 운행됐으며, 누적 승객 수는 1001만 4707명에 달했다. 한편, 일일 승객 수는 6월 26일이 2만 5794명, 27일에는 2만 6770명으로 이틀 연속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27일부터 29일까지 이어진 3일 연휴가 수요를 끌어올린 것으로 보인다. 우쉬는 2025-07-08 17:24
-
[NNA] 中 고속철 '짐없이 탑승' 서비스 개시 중국 철도 운영을 담당하는 중국국가철로집단은 철도 승객의 짐을 대신 운반해주는 서비스를 도입했다. 먼저 베이징시(北京西)역, 상하이 훙차오(上海虹橋)역 등 19개 역에서 시범 운영에 들어갔다. 출장이나 여행 시 대형 수하물을 직접 들고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여 고객 편의를 제고하기 위한 조치다. 이 서비스는 승객의 짐을 자택에서 출발역까지, 혹은 도착역에서 목적지까지 운송해주는 것으로, 지난달 28일부터 시행됐다. 자택에서 역까지 운송하는 경우, 출발역과 같은 도시 내에서 35㎞ 이내일 때는 자택이나 호텔 2025-07-08 17:14
-
[NNA] 대만 청화텔레콤, 日 NEC 해저케이블에 투자 대만 최대 통신사 청화텔레콤(中華電信)은 일본전기(NEC)가 주도하는 국제 해저케이블 프로젝트 ‘AUG’에 출자한다고 밝혔다. 출자액은 24억 대만달러(약 120억 엔)를 넘어설 전망이다. 청화텔레콤에 따르면, AUG 해저케이블의 최종 구축 비용은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각 사업자가 출자 비율에 따라 분담하게 된다. 계약 및 비용 관련 세부 사항은 케이블 컨소시엄과 NEC 간에 체결된 공급계약에 따라 진행된다. 청화텔레콤은 이번 투자 목적에 대해 “국제 통신 전송 대역을 확장하고, 경로를 다양화함으로써 고 2025-07-08 16:56
-
[NNA] 싱가포르 정부, 차세대 반도체 소재 연구소 개소 싱가포르 정부는 차세대 반도체 소재로 주목받는 갈륨 나이트라이드(GaN, 질화갈륨) 관련 국가연구개발센터를 정식 개소했다. 갈륨 나이트라이드는 갈륨과 질소의 화합물로, 결정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이를 사용한 반도체를 화합물 반도체라 부른다. 실리콘 기반 반도체에 비해 절연 파괴 강도와 열전도율이 높다는 등의 우수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번에 문을 연 연구개발 시설은 싱가포르 과학기술연구청(A*STAR)이 설립한 ‘GaN용 국가 반도체 실용화 및 혁신센터(NSTIC GaN)’로, GaN 반도체의 실용화 개발을 2025-07-08 16:45
-
[NNA] 루손화물철도, 미국과 기술지원협정 체결 필리핀 교통부는 메트로 마닐라 북서부 잠발레스주 수빅만에서 남부 바탕가스주 바탕가스항까지 연결되는 ‘수빅–클락–마닐라–바탕가스(SCMB) 화물철도’ 건설 계획과 관련해, 미국 무역개발청(USTDA)으로부터 기술지원을 받기 위한 자금 제공 협정을 지난달 26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정 체결식은 미국 버지니아주 알링턴에서 열렸으며, 필리핀 측에서는 빈스 디존 교통부 장관이, 미국 측에서는 토마스 하디 USTDA 청장 대행이 참석했다. USTDA에 따르면 기술지원은 운송 모델 개발, 항만과 철도 2025-07-08 15:54
-
[NNA] 말레이시아 합승 밴 서비스, 수도권 중심부에도 제공 말레이시아의 노선버스 운영사 래피드 버스는 수도권에서 운행 중인 주문형 합승 밴 서비스(DRT)의 신규 노선을 지난달 30일부터 4개 추가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추가되는 노선은 교통량이 많고 주차공간이 부족한 수도 쿠알라룸푸르의 업무지구(CBD) 및 상업지역을 커버한다. 신설 노선은 △중심업무지구(CBD) 쿠알라룸푸르 △도시고속철도(MRT) 말레이시아 푸트라대학(UPM)역-행정수도 푸트라자야의 상업시설 ‘IOI 시티몰’ △경전철(LRT) 크라나자야역-타만SEA/다만사라자야 △LRT 곰박역-타만슬라세/말레이시아 국제이슬람 2025-07-08 15:35
-
[NNA] 캄보디아 정부, IOM과 이주노동 권리보호 맞손 캄보디아 노동직업훈련부는 국제이주기구(IOM)와 이주노동의 촉진 및 이주노동자의 권리 보호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크메르 타임스가 보도했다. 지난달 25일 체결된 양해각서에는 헹 쑤어 노동직업훈련부 장관과 IOM 캄보디아 사무소의 넬리 구사이니 대표가 서명했다. 구사이니 대표는 이번 양해각서가 △합법적 이주 촉진 △이주노동자 권리 보호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이주노동의 긍정적 효과 극대화를 골자로 한다고 설명했다. 헹 쑤어 장관은 캄보디아가 인접국인 태국과의 접경 지역에서 분쟁이 발생한 2025-07-08 14:51
-
[NNA] 印 오디세, 배터리 교환 서비스 인도패스트와 맞손 인도 서부 뭄바이에 거점을 둔 전동 이륜차 제조업체 오디세 일렉트릭 비히클스(Odysse Electric Vehicles)는 전기차용 배터리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도패스트 에너지(Indofast Energy)와 전략적 제휴관계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제휴를 통해 오디세의 교환식 전동 스쿠터 ‘SNAP’ 구매자들은 인도패스트의 배터리 교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오디세는 SNAP을 인도 수도 뉴델리, 남부 벵갈루루와 하이데라바드, 서부 뭄바이 등 4개 도시에서 출시할 예정이다. 배터리 교환은 구독 서비스로 운영되며, 교 2025-07-07 16:15
-
[NNA] 창청車, 印尼에 첫 EV 출시… 해치백 ORA 중국 완성차 대기업 장청자동차(GWM)의 인도네시아 판매 법인인 GWM 인도네시아는 전기차(EV) 모델 ‘ORA 03’ 해치백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GWM은 그동안 하이브리드차(HV)만을 인도네시아에 투입해왔으며, 전기차 출시는 이번이 처음이다. 신차의 자카르타 기준 온더로드(OTR, 세금·등록비 포함) 가격은 3억 7900만 루피아(약 342만 엔)로 책정됐다. 8월 초까지는 한정 할인 가격인 3억 6900만 루피아에 판매될 예정이다. ORA 03은 47.8킬로와트시(kWh) 용량의 배터리를 탑재했으며, 유럽의 NEDC 기준으로 1 2025-07-07 16:04
-
[NNA] 베트남 농지세 면제, 2030년 말까지 연장 베트남 국회는 농지 사용세 면제 기간을 2030년 말까지 5년간 연장하는 결의를 채택했다. 이번 조치는 식량 안보 강화와 농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것으로, 농지를 실제로 농업에 이용하는 가구·개인·조직이 면세 대상이 된다. 다우투 온라인이 보도했다. 다만 국가로부터 농지 사용을 허가받았으나 실제로는 농업에 활용하지 않고 제3자에게 재임대하는 경우에는 세금을 전액 납부해야 한다. 농지세 감면 제도는 2001년 말 총리 결정으로 도입된 뒤 지속적으로 연장돼 왔다. 가장 최근에는 2020년 말 종료 예정이 2025-07-07 15:51
-
[NNA] 홍콩 행정장관 고문단에서 리저쥐 제외 홍콩 정부는 최고 정책 책임자인 행정장관에게 전략적 발전 방향을 자문하는 ‘행정장관 고문단’의 신규 구성 명단을 발표했다. 전체 34명이 임명됐으며, 이 중 31명은 유임이고 3명이 새롭게 합류했다. 다만, 파나마 운하 매각 문제로 주목받고 있는 홍콩의 복합기업 CK허치슨홀딩스(長江和記実業)의 리저쥐(李澤鉅) 회장은 이번에 고문단에서 빠지게 됐다. 고문단의 이번 임기는 오는 7월 1일부터 2027년 6월 30일까지다. 새롭게 합류한 인사로는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기술을 개발 중인 저장성의 첨단기 2025-07-07 1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