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고객 두 번 울리는 카드사 대환대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09-04-20 08:3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이자가 이렇게 불어날 줄은 꿈에도 몰랐어요"

카드사가 고객 편의를 위해 제공한다는 대환대출의 폐해가 일파만파 번지고 있다. 카드 연체금을 갚지 못한 고객들을 위한다는 취지였지만 지나치게 높은 금리로 오히려 이자부담만 키우고 있는 것이다.

지난 2004년 씀씀이가 늘어 A카드에 1600만원 가량의 빚을 진 권씨(38)는 신용불량자 신세를 면하기 위해 대환대출을 받았다. 그후 51개월에 걸쳐 대출금을 상환한 권씨는 지금까지 낸 이자를 확인하고 크게 놀랐다. 그동안 자신이 낸 돈 1340만원 가운데 410만원 가량이 이자로 계산됐기 때문이다.

권씨는 가입 당시 카드 연체금을 당장 갚을 수 없어 '울며 겨자 먹기'로 연 금리 16.0%의 대환대출을 받았다.

19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카드사들의 대환대출 금리는 연 최고 23.0~24.0% 수준으로 현금서비스와 비슷하다.

카드사들이 연체금을 갚지 못한 고객들의 신용불량자 전락을 막기 위해 마련한 제도라고 하기에는 금리 수준이 높다.

대환대출을 이용해 2004년부터 72개월에 걸쳐 매달 20여만원을 내고 있는 직장인 김 모씨(33)는 "체감상으로는 이자 반, 원금 반을 내고 있는 것 같다"며 "가입 당시에는 어쩔 수 없이 가입했지만 살인적인 이자에는 할 말이 없다"며 두손을 저었다.

하지만 카드업계는 대환대출 금리가 합리적으로 책정됐기 때문에 별 문제가 없다는 반응이다.

은행계 카드사 관계자는 "대환대출 금리는 신용도에 따른 리스크(대손충당), 물가상승, 연체 등 모든 비용이 감안된 것"이라며 "고객 부실을 최소화하도록 관리하는 제도이기 때문에 고금리라고 보기 어렵다"고 반박했다.

하지만 신한(5.8~19.5%), 삼성(20일 기준, 11.2~24.0%), 외환(담보부 14.0%, 신용 23.0%) 등 국내 주요 카드사들은 높은 대환대출 금리를 유지하고 있다.

또 기존의 대환대출 대부분이 원리금균등 상환방식으로 나갔기 때문에 서민들의 부담이 커졌다는 지적이다.

원금균등 상환방식은 남은 원금만에만 이자율이 적용돼 초기 납입금은 많지만 이자와 원금을 합한 총 금액이 원리금 균등방식보다 적다.

반면 원리금 균등방식은 초기납입금은 적지만 총 납입금액이 많고, 중도상환할 경우 불리한 구조다.

카드 연체에 시달리던 고객들은 원금에 부담을 느끼고 있었기 때문에 원리금균등 상환 방식을 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게다가 최근 경기침체로 가계의 실질 소득이 줄어 가계 부담이 더욱 커졌다. 

대환대출을 이용한 서민들은 카드대란 때 가입한 대환대출이 거의 끝나가는데 금융위기가 터져 이 마져도 제 때 내기 힘들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그들은 카드사가 금리를 내리거나 상환을 유예해 주기를 바라고 있다.

한편 여신전문금융회사들은 지난달 22일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올해 연말까지 대출금 만기를 연장하기로 했다. 중소기업의 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 총 11조5000억원 수준이다.

   
 
 


김유경 기자 ykkim@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