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송정훈 기자) 6·2 지방선거 후폭풍이 정치권에 몰아치고 있는 가운데 여야는 이후 정국의 주도권을 잡기위한 전열정비에 돌입했다.
한나라당은 당내 소장 개혁파를 중심으로 선거 패배 이후 정풍수준의 쇄신만이 해결책이라 판단하고 당 지도부와 청와대에 연일 압박을 가하고 있다.
당 개혁성향 모임인 ‘민본21’은 전날 수도권 중심 초선의원 23명의 모임에 이어 7일 회동을 갖고 여권 쇄신책을 집중 논의했다.
민본21은 이날 모임을 통해 당내 세대교체를 통해 새로운 리더십을 구축하고 청와대는 국정운영의 인식 전환과 인사 개편에도 팔을 걷어야 한다는 데 공감을 이룬 것으로 알려졌다.
또 지방선거 패배 책임자들은 얼마 후 개최 예정인 전당대회에 불출마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민본21 간사인 권영진 의원은 “쓰나미 같은 무서운 민심이 한나라당과 이명박 정권을 쓸고 지나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대통령 생각부터 당의 행태까지 통째로 바꿔야 민심에 부응하는 정치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모임에 참석한 한 의원은 “청와대가 ‘7·28 재보선 이후에나 쇄신을 검토하겠다’고 한다”며 “이는 청와대의 인식이 아직 독선적이고 권위주의적이라는 것을 반영한다”고 비판했다.
친이 계 정태근 의원은 라디오 인터뷰를 통해 “내부든 외부든 새로운 리더십을 만들기 위해 의견을 모으면 그 사람들에게 집단적으로 힘을 실어 리더십교체에 가속적인 힘을 가져가자는 데 초선들이 공감하고 있다”며 지도부 세대교체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선거에서 민심을 얻었다고 판단한 민주당은 이후 여권을 향한 공세를 본격화 하기위해 하반기 현안을 정했다.
민주당은 7일 의원 워크숍을 통해 △세종시 원안 추진 △4대강 사업 저지 △친환경 무상급식 시행을 하반기 3대 현안으로 설정하고 중앙당과 지방정부간의 협력을 위한 공조 틀 마련에 나섰다.
국회에서 입법과 예산을 최대한 뒷받침하고 6·2 지방선거에서 배출된 지방자치단체장을 중심으로 ‘MB정책’ 폐기를 실행에 옮긴다는 전략이다.
우선 중앙당과 지방정부 협의체를 위해 ‘공동정책 및 예산 협의회’를 발족하고 원내에서는 지방선거 당선자들의 핵심공약을 정책과제로 추진해 입법 및 예산투쟁에 집중할 예정이다.
4대강 사업 저지를 위해서는 국회 상임위 차원의 4대강 공청회 추진과 현장방문 등을 통해 여론몰이에 나서기로 했다.
세종시와 관련해서는 중앙부처 이전고시를 촉구하고 법제화에 힘을 기울일 방침이다.
또 9월 정기국회에서 내년 예산안 편성시 관련 예산 반영에 총력을 기울여 자당 의원들이 국회에 제출한 무상급식 관련 법안을 이달 내에 처리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songhddn@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