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원화강세 지속 가능성에 수출기업들 긴장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5-03 17: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하늘·이재영 기자)외환보유액이 늘어나 원화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수출기업들도 긴장하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이 32개월 만에 최저치로 내려 앉는 등 원화강세가 지속되고 있다. 여기에 외환보유액도 사상 처음으로 3000억달러를 돌파하는 등 최고치에 달해 원화강세를 부추길 우려가 있다.

원화강세는 자동차, 철강, 화학, IT 등 수출기업들의 가격경쟁력을 떨어뜨려 수익성을 악화시키기 때문에 외환보유액이 많다는 점은 환율 리스크를 높일 수 있는 부분이다.

특히 환율 영향이 밀접한 전자업계 등은 적자가 발생하는 환율의 마지노선을 1050원대로 잡고 있어 환율이 지속 하락할 경우 부담이 커진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의 추세라면 원화 강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환율이 1050원대까지 떨어지면 수출기업들이 적자 상황으로 내몰릴 것”이라고 지적했다.

수출 비중이 높은 전자업계는 환율하락폭을 예의 주시하며 추가적인 하락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아직까지 외환보유액이 늘어서 수출에 영향을 주는지는 체감이 안된다. 글로벌 시장에서 다양한 통화를 기준으로 거래가 이뤄지기 때문에 단순히 원달러 환율만으로 일반화해서는 안된다”면서도 “다만 환율은 원가경쟁력 등에 미치는 영향이 있기 때문에 예의주시하고 변화에 따른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초 원달러 환율을 1080원대로 내다봤던 삼성전자도 이미 예전에 마지노선이 깨지면서 환율대책의 강도를 높이는 상황이다.

자동차업계도 환율 하락이 지속될 경우 수출경쟁력 약화가 우려된다. 연초 환율을 1100원대로 예상했던 현대기아차는 환율 하락폭을 주시하고 있다. 현대기아차는 환율이 10원 내리면 2000억원의 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출이 60%를 넘는 석유화학업계도 대책 마련에 고심 중이다. LG화학 관계자는 “매출의 절반 이상이 외화로 발생하며 이 중 달러가 약 90%를 차지하고 있다”며 “환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시 대응반을 수립해 실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원유를 수입하는 정유업계는 환율하락에 따라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정유업계 관계자는 “원유를 수입하지만 석유제품 매출에서 수출이 60%를 넘어 상쇄되는 부분이 있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