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는 공동연구팀이 일반 면역장기에만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Flt3 의존성 수지상세포가 혈관에도 상존하는데, 이들이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림프구(골수와 림프조직에서 만들어진 세포)를 증가시켜 동맥경화병변을 억제한다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규명하는데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연구팀은 Flt3 유전자가 결핍된 생쥐(유전자변형생쥐, GEM)에는 혈관 내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Flt3 의존성 수지상세포가 결핍돼있고, 이 Flt3 의존성 수지상세포가 결핍된 생쥐는 동맥경화증이 촉진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즉 동맥경화증이 발생하는 생쥐(LDL수용체 유전자 적중 생쥐)에게 Flt3 유전자가 발현하지 못하도록 해 Flt3 의존성 수지상세포를 결핍시키면, 동맥경화증이 촉진된다는 것이다.
이는 살아있는 동물을 이용해 Flt3 의존성 수지상세포의 동맥경화 억제·촉진기능을 명쾌하게 규명한 연구결과로서, 앞으로 수지상세포를 이용한 신약개발에 새로운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교과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도약연구)과 일반연구자지원사업(신진연구)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연구결과는 세계 최고 권위의 생명과학분야 학술지 ‘셀(Cell)’의 자매지인 ‘Immunity‘지에 온라인(11월 10일, 현지시간)으로 게재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