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카다피 죽은지 한달, 국내 건설사 공사 재개 준비에 구슬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11-17 17:4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정부 차원 대규모 지원 있어야, 향후 수주에 도움" 한목소리<br/>"한국 째째하다는 평 많아, 의료진 등 지금 많이 도와줘야"

(아주경제 유희석 기자) 무아마르 카다피 전 리비아 국가원수가 사망한지 한달이 가까워지면서 리비아에 진출한 국내 건설업체들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아직 현지에서는 저녁이면 총소리가 들리고 정부 조직도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상태지만 리비아 진출 기업들은 시국이 안정될 때까지 무작정 기다릴 수 없는 상황이다. 일부 기업은 현지 지사를 다시 열었으며, 대부분 국내 직원을 파견해 발주처와의 협의 등을 진행하고 있다.

다만 공사 재개는 빨라야 내년 상반기 이후가 될 것으로 보인다. 아직 리비아 정부 조직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고, 방글라데시 등 공사에 필수적인 제3국 인력의 리비아 입국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 아직 피해 상황 파악 단계

17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건설은 지난 9월 말 리비아 지사를 다시 열고, 트리폴리에 3명, 벵가지에 3명 등 총 6명의 국내 직원이 머무르고 있다. 지난달 말에는 현장 점검팀이 일주일 일정으로 현지를 방문해 공사 현장 피해 상황 등을 파악했다.

지난 10일에는 무스타파 압둘 잘릴 리비아 국가과도위원회(NTC) 위원장이 대우건설의 벵가지 중앙병원 현장을 방문해 내전 중에도 철수하지 않고 현장을 지켜준 대우건설 직원들에 감사의 뜻을 전하기도 했다.

하지만 대우건설 관계자는 "현지 공사 현장은 전쟁 중에도 직원들이 계속 지키고 있어 보존이 잘 돼 있는 상태지만, 대부분의 현장이 공사 재개를 위해서는 피해 보상과 관련해 발주처와의 협의가 끝나야 하고, 제3국 인력 등도 다시 모집해야 해 빨라야 내년 말에나 공사가 다시 시작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지에서 대규모 발전소 공사를 진행하던 현대건설도 현재 2명의 직원을 파견해 계속 현장 답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들은 조만간 피해 상황을 조사하고 발주처와 공사 재개 및 피해 보상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트리폴리 신시가지 5000가구 주택 공사를 진행하던 신한은 비교적 공사를 빨리 시작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리비아 정부가 국민 생활 안정을 위해 무상 주택 공급 사업에 많은 신경을 쓰고 있기 때문이다.

이원희 신한 상무는 "현재 우리 직원 6명이 현지에 파견돼 리비아 정부로부터 그동안 청구해 놓은 미수금을 받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리비아 정부는 지금이라도 바로 공사를 다시 시작해주기를 바라지만, 우리는 미수금을 받아야 공사를 다시 시작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 현대엠코, 원건설, 이수건설, 한일건설 등 리비아에서 공사를 진행하던 국내 건설사들은 직원들을 현지에 파견해 현장 상황을 점검하고, 피해 보상 방법에 대해 알아보는 등 공사 재개를 위한 준비에 들어갔다.

◆ 리비아는 수천억弗 신시장

리비아 전후 복구 사업은 약 1200억 달러 정도로 추산된다. 하지만 현지 진출 기업들은 카디피 사망 이후 자유 시장 국가로 변하고 있는 리비아 건설 시장이 향후 수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모든 것을 정부가 통제하던 카디피 독재 시대와는 상황이 크게 다를 것이란 전망이다.

현지 진출 기업들은 특히 정부가 리비아에 대해 인도적 차원의 대규모 지원에 앞장서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어려운 시기에 도와주면 향후 국내 기업들의 수주에 큰 도움이 될 것이란 주장이다.

리비아에서 공사를 진행하고 있는 한 건설사 관계자는 "우리 기업이 전쟁 전 리비아에 진행하던 사업 규모가 약 360억 달러에 달했다"며 "하지만 정부 차원의 지원은 100만 달러에 불과해 현지 주민들이 '한국은 쩨쩨하다'라는 말을 할 정도"라고 말했다.

또 다른 건설사 관계자도 "터키는 트리폴리 공항을 무상으로 고쳐주는 등 약 2억 달러 정도를 지원했다"며 "우리 정부가 정작 어려울 때 돕지 않으면 국내 기업들의 향후 수주 활동에도 장애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권혁진 국토해양부 해외건설과장은 "리비아는 소득 수준이 높아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등을 이용한 대규모 공적개발원조(ODA)가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대신 물전문가 및 의료진, 지뢰 제거반 등을 파견하는 방식으로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