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A는 이런 지형들이 몇미터씩 이동한 것이 포착됐으며 이는 화성의 모래 표면이 생각보다 더 역동적임을 보인 것이라고 설명했다며 사이언스 데일리는 21일 보도했다.
NASA 과학자들은 “이전까지 우리는 화성의 모래가 거의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생각해 왔지만 사진을 보니 이런 생각이 완전히 달라졌다. 화성에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강한 바람이 불거나 바람이 모래를 실어나르는 힘이 생각보다 더 강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화성 주위에는 붉은 먼지가 폭풍처럼 몰아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짙은 모래 알갱이는 크고 단단해 움직이지 않을 것으로 여겨졌다. 10년 전까지만 해도 과학자들은 사구가 전혀 움직이지 않거나 움직인다 해도 속도가 느려 포착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했다.
지난 2005년 발사한 MRO에 탑재된 고해상도 영상실험카메라(HiRISE)가 여러 해 동안 화성 표면에서 일어나는 형태 변화를 추적한 결과, 다르게 드러났다.
화성에는 공기가 희박하기 때문에 모래 한 알을 움직이는데도 강한 바람이 필요하다. 실험 결과 모래 한 더미를 움직이는데 지구에서는 시속 16㎞의 바람이면 되지만 화성에서는 시속 130㎞의 바람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난 1970년대와 1980년대 초 화성 착륙선 바이킹이 수집한 자료에 따르면 화성에는 이런 바람이 거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진은 MRO의 사진으로 화성의 사구들이 움직인다는 사실이 확인됐지만 모든 하상지형이 움직이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이런 곳의 모래들은 입자가 더 크거나 표면층이 단단히 굳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이런 지형들은 어쩌면 수만년에 걸쳐 일어나는 기후 순환에 의해 더 느린 속도로 변화할 수 있다고 추측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