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한 스트레스와 잦은 이어폰 사용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마포소리청한의원은 최근 20·30대 남녀 120명을 대상으로 ‘나는 가는 귀가 먹었다’라는 주제로 설문조사를 펼친 결과 58.3%(70명)가 ‘그렇다’고 응답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로 인해 겪은 어려움으로는 ‘다른 사람을 불렀는데 내가 대답한 적이 있다’가 34%(24명)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은 ‘사오정으로 놀림을 받았다’ 20%(14명), ‘업무에 지장을 초래했다’ 16%(11명), ‘오해를 산 일이 있다’ 14%(10명)가 차지했다.
전문가들은 젊은 층에서 가는 귀가 먹는 현상이 많은 이유로 이어폰의 과다 사용과 지나친 스트레스, 턱 괴는 습관, 수면 부족 등을 꼽았다.
이런 증상은 청력 저하는 물론 돌발성 난청과 이명을 유발한다.
실제 조사 결과(복수 응답) 이어폰 사용량이 많고(27%), 지나친 스트레스(19%)를 받으며, 턱을 괴는 습관(16%)과 수면 부족(15%)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았다.
유종철 마포소리청한의원 원장은 “취업과 직장 내 경쟁으로 인해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은 20·30대가 많다”며 “스트레스는 목과 어깨 근육을 긴장시켜 청신경 부근의 혈류 장애를 일으키고, 얼굴로 열이 오르는 상열감이 생겨 혈류의 흐름을 방해해 달팽이관의 청각세포를 파괴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