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는 올해 철새와의 충돌예방 활동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8일 밝혔다.
국토부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최근 5년간 발생한 항공기와 조류의 충돌은 총 469건으로 연평균 94건에 달했다.
충돌건수는 지난 2007년 55건에서 2008년 71건, 2009년 132건으로 고점을 찍은 후 조류충돌 예방활동 강화로 2010년 119건, 2011년 92건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충돌이 일어난 장소는 공항구역(이륙시 고도 500피트 이내, 착륙시 200피트 이내) 내가 303건으로 가장 많았다. 공항별로는 김포공항 74건, 제주공항 70건, 인천공항 44건, 김해공항 36건 등 순이었다.
발생시기는 10월이 가장 많았으며, 이를 포함해 8~11월 사고 발생률이 61% 달했다.
최근 3년간 조류충돌에 의한 항공기 회항이나 결항은 14건이었으며, 그중 철새에 의한 충돌이 11건(79%)으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철새의 경우 텃새와는 달리 고공으로 무리를 지어 이동하고 몸집이 커 기존의 지상퇴치 방법 외에 별도의 충돌예방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국토부는 분석했다.
이에 국토부는 공항외부지역의 조류서식지 관리를 강화하고 공항내 철새 상시감시소 설치·운영 및 조류탐지레이더 시범설치를 검토하는 등 철새 충돌 예방에 집중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공항의 조류유입을 차단하고 그동안 수집한 정보를 분석해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조류충돌 예방활동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