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전년대비 중량은 110% 증가한 것이고, 금액기준으로는 무려 220% 증가한 수치이다. 종류별로는 메스암페타민(일명 필로폰)이 67건(18.3kg)으로 가장 많았고, 신종 마약류인 JWH-018 등 합성대마가 41건(3.1kg), 대마 42건(2kg), 코카인 4건(2.1kg)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가운데 필로폰은 국내에서 가장 많이 남용되는 마약류로서 관세청이 지난해 적발한 필로폰 18.3kg은 60만명이 동시에 투약할 수 있는 분량이다.
또 마약류의 주요 적출국은 중국 59건(34%), 미국 43건(25%), 캐나다 13건(7%), 영국 및 헝가리 각각 10건(6%), 뉴질랜드 9건(5%) 및 아프리카 5건(3%) 등인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미국과 캐나다 등 기타 국가에서는 개인 소비용의 대마초와 합성대마가 주한미군 및 원어민 강사 등에 의하여 소량씩 반입되는 과정에서 적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청 관계자는 “올해에도 국제범죄조직에 의한 대량 밀반입 및 개인소비 목적의 신종 마약류 밀반입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를 관세국경에서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마약탐지기(Ion-Scaner) 및 X-Ray검색기 등 과학검색장비를 확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관세청은 마약우범자 및 화물을 효과적으로 단속하기 위해 마약수사요원, 여행자정보 분석요원, X-Ray 판독직원 및 휴대품·특송 화물 검사직원으로 구성된 ‘마약우범자·화물 집중검색 T/F’를 편성 ·운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