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이어 심도 있는 재검토를 요청하는 공문을 국토해양부에 재차 제출했다고 23일 밝혔다.
고양시에 따르면 파주 운정3지구는 지난 2009년 12월 광역교통개선대책 수립당시 3만2,400세대 8만1000명에서 14.8%가 증가한 3만7200세대 9만3000명을 수용하기로 계획하였으나, 오히려 교통발생량은 5.9%가 감소한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교통량 분석 시 승용차 구성비는 당초와 달리 6%가 감소한 23%로 분석, 파주시 도시교통정비기본계획의 37%와 크게 상이하는 등 분석자료 대부분이 축소됐다. 따라서 심의 전 철저한 재분석이 필요하며 광역교통개선대책으로 1조5380억원 투자를 계획하였으나, 4964억원이 축소된 1조416억원을 투자하기로 계획하여 축소부분 대부분이 고양시에 집중 피해발생이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고양시가 중앙로의 교통집중을 분산하기 위해 중앙로~호수로간 도로신설과 김포-관산간도로(지방도363호선)의 교차로 입체화, 서울-문산 고속도로와의 양방향IC설치, 신도시-성석간 도로와 지방도363호선과의 입체화시설을 요구했으나 대부분 미반영 됐다고 지적했다
고양시는 광역교통개선대책 변경(안)이 재검토 되지 않을 경우 중앙로에 현재 운영 중인 BRT 48개 노선과 별도로 운정에서 출발하는 총 15개 노선이 추가되어 만성적인 교통정체가 예상된다. 또 신설 예정도로도 기존도로와 연계되지 않거나 불합리한 기하구조로 계획되어 있어 향후 도로망 정비를 위한 추가사업비의 부담도 안게 된다고 주장했다.
고양시는 이어 파주 운정3지구와 관련한 어떠한 사업비도 투자하지 않겠다며 변경(안)이 그대로 통과될 경우 일부도로가 미 개설 되거나, 파주 운정3지구와 연계되는 도로개설이 상당기간 지연될 수 있어 국토해양부의 파주 운정3지구 광역교통개선대책 처리가 주목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