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개막을 사흘 앞둔 23일 53개 참가국과 4개 국제기구 실무 대표단 200여명이 서울 삼성동 인터콘티넨탈호텔에 모여 최종 대표교섭회의를 갖고 회의 일정, 논의 주제, 의전 등 전반적인 사항을 마지막으로 점검했다.
각국 대표단들은 서울 정상회의의 공식 결과문서로 채택할 예정인 ’서울 코뮈니케‘의 문안을 최종 조율했다.
서울 코뮈니케에는 △핵물질(HEU·플루토늄)의 최소화 노력 △핵·방사성물질의 안전한 관리 △원자력시설의 보호 △핵·방사성물질의 불법거래 방지 △핵안보와 원자력안전간 상호관계 △핵감식, 민감정보 보호, 안보문화 증진 △관련 협약의 보편적인 적용 확대 △국제기구 및 다자협의체 활동 강화 등 핵과 방사능 테러 방지를 위한 포괄적인 실천조치들이 포함됐다.
정부의 한 당국자는 “1차 워싱턴 회의에 비해 구체적이고 실천적 내용이 포함돼 있다”며 “방사능이나 안보 차원에서의 원전 안전 문제가 담긴 점이 특징”이라고 말했다.
또 이 당국자는 코뮈니케 채택과 별도로 각국은 민수용 HEU를 폐기하거나 최소화 하기 위한 자발적 공약을 내놓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