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바오 총리는 26일 열린 제5차 염정(廉政)공작회의에서 집권당의 최대 위험요소는 부패라며 이같이 강조했다고 신화사가 27일 보도했다. 원 총리는 또 “부패문제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면 정권의 본성이 변하게 되고 이는 정권을 지닌 사람의 몰락과 정치집단의 패배를 불러오게 된다”고 역설했다.
그는 현재의 반부패 활동 성과는 일반 대중의 기대와는 차이가 크며 특히 행정권력이 집중된 부문이나 자금·자원 관리 권한이 집중된 영역에서 부패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도층 간부의 부패문제는 여전히 사라지지 않고 있으며 국유기업, 사회사업 분야의 부패사건도 갈수록 많아지고 덧붙였다.
그는 부패를 막으려면 민주적 감독을 강화하는 한편 시민들의 제보와 사회여론, 매체 등에서 거론한 사안을 적극 수용하고 조사한 뒤 결과를 사회에 공표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올해 반부패 활동의 하나로 공무원이 공금으로 고급 담배나 고급 술 등의 선물을 사는 행위를 금지하고 지도층 간부들의 개인 인사 사항을 일정 범위에서 공개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또 정부 구매 과정을 모두 온라인화하고 올해 연말까지 공무지출은 카드로 결제토록 하는 제도를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시진핑(習近平) 부주석은 지난 16일 공산당 기관잡지인 치우스(求是)에 실린 글을 통해 공산당의 순결성을 역설하며 부패척결을 강조하는 등 최근 중국에선 당원 및 관리들의 부패척결과 사회 기강확보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