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처럼 고위 공직자들의 재산 증감 현황을 공개하면 공직 부패도 줄일 수 있고 고위공직자들에게 쏟아지는 부패 혐의를 해명할 수 있음에도 재산공개를 하지 않는 중국에 대한 비판이 나온 것.
중국 신화통신(新華通信)과 인민일보(人民日報) 등 주요 매체들은 7일 대만 공직자들의 재산 공개 현황을 보도했다.
중국 매체들은 마잉주 총통 부부는 작년 11월말 현재 1억 대만달러(약 38억원)의 재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개인저축의 경우 310만 대만달러(약 1억1780만원)이 늘었다고 밝힌 뒤, 부총통 당선자 우둔이(吳敦義)는 1380만 대만달러(약 5억2440만원)의 은행예금과 캠리 자동차, 2필지의 땅, 건물 1채 등의 재산을 공개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보도가 나오자 중국 누리꾼들은 재산등록과 공개를 하지 않고 있는 자국의 고위공직자들에 대한 비판을 쏟아냈다.
고위 공직자들이 부정한 방법으로 돈을 번 게 아니라면 재산 규모는 문제 되지 않을 것이라면서 고위 공직자들이 재산공개를 기피하는 것은 재산형성 과정에 문제가 있다는 점을 반증한다는 것.
중국에선 일부 지역과 일부 직급에 한해 재산등록을 하고 있으나 등록대상이 제한돼 있는데다 허위로 등록해도 확인하거나 제재할 방법이 없어 사실상 유명무실화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 경찰이 7일 광저우(廣州) 시내에서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의 개인 재산을 공개하라며 시위를 벌인 2명의 젊은 남자를 체포했다고 보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