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세계 산업 선도국가 도약’ 토론회 개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4-30 14: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재영 기자)“SNS에서는 싸이월드가 페이스북보다 선도자(First Mover)였고, IPTV에서는 하나로TV가 선도자였지만 실패했다”(이근 서울대 교수)

“성장동력 육성을 위해서는 ‘융합’이라는 씨앗을 뿌려야 한다”(한민구 서울대 교수)

대한상공회의소와 한국무역협회, 포스코경영연구소가 30일 상의회관에서 개최한 ‘세계 산업 선도국가 도약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이근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산업주도권의 국가간 이전과 추격의 결정요인’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우리나라는 작은 내수시장, 비영어권, 문화 코드에서 비선도국가이므로 선도자 전략이 적절치 않을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근 교수는 “한국은 여러 산업에서 매우 성공적으로 추격을 해 왔고 선도 지위에 도달했는데 가장 큰 위험요인은 바로 ‘승자의 저주’”라며 “맹목적인 선도자 전략에의 몰입보다는 빠른 추종자(fast follower) 전략이 더 위험성이 적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앞으로 우리의 최대 경쟁국은 중국일 것”이라며 “중국과 한국의 주력산업 분포가 유사해 한중간 상호 경쟁․분업관계를 어떻게 가져갈 것인가가 우리산업의 도약과 추락여부에 관련된 결정적 관건”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중국의 추격을 극복하기 위해 부품소재의 고급화를 추진하고, 중국의 거대한 내수시장을 활용하기 위해 한중 FTA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향후 10년 경제환경의 변화속에서 무엇으로 먹고 살 것인가’라는 주제로 열린 이날 토론회에는 이근 교수의 ‘빠른 추종자’, ‘한중 FTA 체결’ 제안 외에도 ‘글로벌 전문기업 육성’, ‘기능·기술인력 양성’ ‘첨단융복합산업 육성’, ‘대기업 경영권방어장치 인정’, ‘산은·기은 등 정책금융기관의 적극적 투자’, ‘융합 신산업 지원시스템의 일원화’ 등 신성장동력 육성을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쏟아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