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주요 콩 생산국의 콩 생산량을 보면 브라질이 전년 대비 13.9%나 감소했으며 아르헨티나(13.3%), 미국(8.2%), 중국(10.6%) 모두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세계 최대 콩 생산국인 미국의 올해 콩 파종면적이 전년 대비 1% 감소한 2억9900만㏊로 전망됨에 따라 국제 콩 수급불안이 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
이에 농식품부는 국산 콩 수급안정을 위해 올해 국산 콩 14만t 생산을 목표로 관계 기관·단체와 유기적으로 협력한다는 방침이다.
농식품부는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논 소득다양화사업을 실시, 콩 재배면적을 7만2000ha까지 확보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농촌진흥청을 통해 다수확 재배기술, 병해충방제, 적기파종 등 생산자 교육과 함께 파종 이후에도 재배농가에 대해 지속적인 지도·관리를 시행함으로써 생산성 제고를 이끌어 나간다는 방침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올해 국산콩의 안정적 생산을 위해 향후 각 기관·단체의 유기적 협력체계를 유지하고 담당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협의회를 운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농식품부는 지난 5월 25일 국립종자원, 농촌진흥청,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협중앙회 등과 함께 ‘2012년도 콩 안정생산을 위한 관계기관 1차 협의회’를 개최한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