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처리실적 가운데 기아차 처리량이 39만4335대로 지난해와 비교해 16.5% 늘었난 수치로 가장 많았고, 수입차(6만6340대, 25.6%), 현대차(5만2112대, 14.7%) 등이 뒤를 이었다.특히 수입자동차의 처리실적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상반기 처리된 수입차를 브랜드별로 살펴보면 BMW가 1만8,373대로 가장 많이 처리되었고, 메르세데스벤츠 1만769대, 도요타와 렉서스 1만148대, 아우디 7천171대, 폭스바겐 6천715대 등의 순이었다.
최홍철 사장은 “글로벌 경기침체 속에서도 국내 자동차 업체들의 수출 실적이 늘어났고 FTA의 영향으로 가격 경쟁력을 갖춘 수입차의 증가도 한 몫을 했다”며 “평택항은 최간조시 14m의 충분한 수심을 확보하고 미주, 유럽 등 전 세계를 연결하는 항로를 운항하고 있어 물량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이고,자동차 물류 허브항으로 입지를 더욱 굳건히 지켜 나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