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과학기술자상’ 8월 수상자에 전장수 교수 선정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8-06 12:0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퇴행성관절염 발병 근본 원인 규명

[전장수 교수]

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은 퇴행성관절염의 근본원인을 규명한 광주과학기술원(GIST) 생명과학부 전장수 교수(54)를 이달의 과학기술자 8월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6일 밝혔다.

전 교수는 연골조직이 닳아 없어지는 퇴행성관절염의 새로운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고령화에 따른 발병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술이나 통증완화치료 이외 근본적인 치료방법이 없는 실정에서 연골퇴행의 근본원인을 규명한 이번 연구가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방법 개발에 새로운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 교수는 정상 연골세포와 달리 퇴행성관절염 연골세포에서 아연이온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알아내고 이를 토대로 아연이온이 연골퇴행을 유발하는 단백질들을 활성화 시켜 퇴행성관절염이 결정적으로 유발됨을 밝혀냈다.

구체적으로 퇴행연골 조직에서는 아연이온을 세포내로 수송하는 단백질(ZIP8)이 많이 생성되고 이로 인한 연골세포 내 아연이온의 유입으로 아연-의존성 전사인자(MTF1)가 활성화된다는 것이다.

나아가 이 전사인자가 연골기질분해효소(MMP 및 ADAMTS)의 발현을 직접적으로 유도함으로써 연골이 닳게 된다는 설명이다.

실제 관절에서 ZIP8 또는 MTF1이 많이 만들어지도록 한 유전자 조작 생쥐에서는 퇴행성관절염이 심하게 유발되지만, 반대로 이들 유전자가 결손된 생쥐에서는 퇴행성관절염이 유발되지 않았다.

전 교수는 이처럼 아연이온을 매개로 하는 세포신호전달체계를 규명하고 연골퇴행 인자들의 발현을 상위에서 조절하는 유전자를 찾아냄으로써 퇴행성관절염 치료의 새로운 표적을 제시한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는 “수송체단백질에서 전사인자까지 이어지는 일련의 신호전달 체계가 연골퇴행에 관여하는 상위 기전임을 밝힌 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전 교수 연구팀은 이러한 연구결과를 생명과학 분야 권위지 셀(CELL)지를 통해 지난 2월 발표했다.

이외에도 지난 2010년에는 히프투알파(HIF-2α)와 퇴행성관절염과의 관계도 규명해 기초의학 분야 학술지 네이처 메디슨(Nature Medicine)지에 게재한 바 있다.

한편 이달의 과학기술자상은 산‧학‧연에 종사하는 연구개발 인력 중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사람을 발굴·포상하고 있다.

과학기술자의 사기진작 및 대국민 과학기술 마인드를 확산하고자 1997년 4월부터 시상해오고 있으며, 매월 1명씩 선정해 미래부 장관상과 상금을 수여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