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영산대, 미 버지니아주 교과서 동해병기의 주역 피터킴 특강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9-23 09:3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영산대 제공]


아주경제 부산 정하균 기자 = 지난 2월 미국의 버지니아주 하원 전체회의 방청석에서는 기립박수와 함께 환호성이 터져나왔다. 역사적인 동해 병기 법안이 일본 측의 집요한 로비를 뚫고 하원 전체회의를 통과했기 때문이다.

지난 2012년 2월 백악관 청원사이트 ’위 더 피플‘을 통해 ’미 교과서 동해표기운동‘을 벌이고 면밀한 전략으로 정치인들을 하나씩 설득시키는 등 성공의 주역으로 단연, ‘미주 한인의 목소리(VoKA)’ 피터 김 회장(한국명 김영길·사진)이 꼽힌다. 피터 김 회장이 대학생들에게 버지니아주 동해법안 통과에 있었던 에피소드를 풀어내며, 대학생들의 자긍심과 국제적인 역량을 고취시키기 위해 영산대학교(총장 부구욱)를 찾는다.

영산대는 오는 24일 오후 2시 반부터 해운대캠퍼스 영상문화관에서 ‘버지니아주 동해법안 통과와 시민운동’을 주제로 ‘미주 한인의 목소리(VoKA)’ 피터 김 회장을 초청해 특강을 개최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특강은 외교통상부 산하의 비영리 공공법인인 재외동포재단(이사장·조규형)이 후원한다.

피터 김 회장은 세계의 거의 모든 지도들이 동해 표기를 하지 않는 상황에서 동해 표기를 위해 수년간 노력해 온 인물이다.

그는 "재미동포 사회의 시민운동을 주도해 동기 표기 요청 운동을 전개해 온 결과 올해 버지니아 주 의회를 움직였다"며 "앞으로도 미국연방의회와 나아가 국제수로기구(IHO)를 움직이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과서에 동해를 일본해와 함께 병기한다는 것은 매우 큰 의미를 갖는다. 제국주의 시대에 국제사회에 먼저 진입한 강국이 저질렀던 지도상의 횡포를 바로잡은 것. 이는 단순히 한국인들이 동해를 되찾는 것이 아니라 지리적 명칭의 문제와 관련된 세계사적 의미를 갖는 것이기도 하다.

이번 특강을 준비한 법경대학 차중곤 교수는 "학생들이 이번 특강을 통해 재미한인들의 목소리를 미국 정치에 반영하는데 어떤 논리의 개발이 필요하고, 재미한인 사회의 정치력을 어떻게 신장시킬 것인지 실감나게 듣고, 국제 경쟁력의 중요성과 함께 긍지를 가지게 되길 바란다"며 "동해 병기 법안의 파급 효과와 세계사적 의미를 짚어보면서 이러한 성과를 어떻게 확대시킬 것인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는 의미 있는 특강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