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물시계 존재 규명 "시간뿐 아니라 통치수단으로도 활용"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10-30 08:4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고려 물시계 존재 규명[사진=KBS방송화면캡처]


아주경제 전기연 기자 = 고려 물시계 존재를 규명하는 논문이 나왔다.

지난 27일 전남대학교에 따르면 인문대학 사학과 박사과정 서금석씨가 조선 세종 시기 자격궁루(自擊宮漏)가 만들어지기 이전까지 사용됐던 고려 물시계 존재 규명 논문을 발표했다.

서씨는 "고려 물시계 이름은 루상수(漏上水)였으며, 별칭으로 궁루(宮漏)·금루(禁漏)·은루(銀漏) 등으로도 불렸다"고 논문을 통해 밝혔다.

또한 고려 물시계에 대해 "왕실 등에서 비교적 폭넓게 사용됐는데 그 형태나 이름에 관해 남아 있는 사료가 거의 없다. 고려사에 대한 연구 작업 도중 당시 쓰였던 물시계를 언급한 자료를 확인해 고려시대 물시계 이름도 확실하게 규명했다"고 설명했다.

이 논문은 고려 물시계가 시간뿐 아니라 사회의 통치 수단으로 활용됐다는 사실을 규명한 것으로 최근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지인 '한국사연구'에 실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