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베링해 선원 가족 "사조산업 조업량 추가 할당이 사고 빌미 제공" 주장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12-02 21:4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채널A 방송화면 캡처]


아주경제 김현철 기자 = '501오룡호'의 선원 가족들이 무리한 조업량 할당이 침몰사고로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실종 선원 가족들은 2일 "501오룡호가 올해 할당량(쿼터)를 다 잡았는데 사조산업에서 애초 할당량보다 많은 양의 생선을 잡으라는 지시 때문에 낡은 선박이 악천후에 조업에 나섰다가 사고가 난 것 아니냐"고 의문을 제기했다.

이들은 "지은 지 40년 가까이 돼 쓰지도 못하는 배를 외국에서 사와 수리도 제대로 하지 않고 강풍과 높은 파도가 이는 악조건에서 무리하게 조업시킨 게 근원적인 문제"라고 지적했다.

한 선원 가족은 "침몰 사고 전 통화에서 할당받은 어획량을 다 잡았는데 선사에서 추가 조업지시를 했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사조산업 측은 "한국과 러시아 정부 간 협상으로 애초 3만t을 할당받았는데 조업이 부진해 이 할당량도 채우지 못했다"고 맞섰다. 

이런 상황에서 추가로 러시아에서 1만t의 쿼터를 더 주는 바람에 국내 5개 원양업체 소속 트롤어선 5척이 조업을 연장하게 됐다는 게 선사 측의 설명이다.

이 1만t은 러시아산 대게의 국내 불법 유통을 막아주는 대가로 보인다.

러시아 해역에서는 불법 대게잡이 어선이 대게를 공해상에서 제3국 선박으로 옮겨 싣고, 이 배가 다시 한국·일본 선박과 선상 거래를 하는 일이 성행하고 있다.

러시아에서는 수출 실적이 없는데 국내에서만 수입 실적이 있기 때문에 이런 불법 유통을 막아 주는 대가로 '보너스' 명태 쿼터 1만t을 넘긴 것으로 풀이된다.

선사 측은 "늘어난 쿼터를 채우려고 5개 선사 소속 트롤어선 5척이 모두 조업을 연장한 것이지 501오룡호에만 추가 조업을 지시한 게 아니다"며 조업량 추가 할당을 사고의 빌미로 주장하는 데 동의하지 않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