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국립환경과학원, 생태독성 사업자 비용 부담 줄인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12-16 12: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염 증명 위한 종합평가보고서 작성 절차 합리화

아주경제 배군득 기자 = 국립환경과학원이 하수·폐수 배출허용기준 또는 방류수 기준 중에 생태독성 초과 원인을 ‘염(鹽)’으로 인정받고자 하는 사업자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염에 의한 생태독성 증명에 관한 규정’을 개정해 17일 행정예고한다.

염은 산(酸)의 음이온과 염기(鹽基)의 양이온에 의해 만들어지는 화합물로 민물에 염의 농도가 높아지면 생태독성 생물시험종으로 많이 쓰이는 담수생물종인 물벼룩 등에 독성 물질로 작용해 생명에 영향을 준다.

생물시험종으로 쓰인 물벼룩이 염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을 경우 생태독성 초과 원인을 ‘염’으로 인정받고 생태독성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본다.

그동안 사업자가 생태독성 초과 원인을 ‘염’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절차가 복잡하고 관련 보고서 작성 비용도 최대 1억원이 필요했다.

이에 국립환경과학원은 염 증명을 위해 필요한 종합평가보고서 작성 절차를 간소화해 사업자의 부담을 최소화했다.

보고서 작성 시 분석항목과 원인물질 탐색 절차가 간소하게 조정되고 생물시험종은 기존 담수생물종 2종과 해양생물종 2종에서 해양생물종 1종으로 줄어든다.

또 사후 점검 규정을 새롭게 추가해 염 증명을 받은 배출시설은 3년 유효기간 동안 적절하게 운영하고 있는지 확인하도록 했다.

아울러 지난 7월 하수도법 시행규칙 개정에 따라 생태독성 초과 원인이 염인 경우에 기준 초과를 면제받을 수 있는 대상시설이 기존 폐수배출시설, 폐수종말처리시설에서 공공하수처리시설까지 확대됐다.

이번 개정에 따라 개별배출시설 사업자의 경우 최대 1억원 정도 소요되던 보고서 작성 비용이 약 800만원 정도로 절감되고 작성기간은 약 5개월에서 2개월로 단축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유순주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공학연구과 과장은 “이번 개정으로 염 증명에 필요한 종합평가보고서 작성 절차가 합리적으로 개선돼 해당 사업자는 비용과 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염에 의한 생태독성 증명에 관한 규정 전문은 내년 1월 중 고시가 확정 되는 대로 국립환경과학원 누리집(www.nier.go.kr)에 게재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