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 갈등' 불구...올해 중국 티베트 자원봉사자 820명 달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8-04 13:3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사진 = 신화통신]


아주경제 배상희 기자 = 소수민족의 분리·독립 움직임과 이를 저지하려는 중국 지도부의 대립으로 지속되고 있는 민족 갈등에도 불구하고 시짱(西藏·티베트)으로 파견되는 중국인 자원봉사자가 늘고 있다. 

공산당청년연맹(CYLC) 티베트 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들어 티베트로 파견된 중국인 자원 봉사자는 820명에 달한다고 중국 관영 영자신문 차이나데일리가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CYLC는 지난 5월부터 현재까지 전국 134개 대학을 대상으로 티베트 자원봉사자를 모집했다. 이를 통해 1만명 이상의 신청자가 접수됐으며, 이중 800여명을 선발해 티베트로 파견했다. 

이들은 대부분 대학교를 졸업한 고학력자들로 교육, 의료, 농업, 빈곤구제 등의 영역에서 평균 1~2년간 티베트 현지 봉사에 나선다. 파견 전 보건과 위생, 티베트의 역사, 현재 경제상황 등과 관련한 3일간의 교육 기간도 거친다. 

중국은 지난 2003년부터 동부에 비해 덜 발달된 서부 지역의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 자원봉사자를 모집해왔다. 현재까지 약 10여년간 3702명의 봉사자가 티베트로 봉사를 떠났으며, 그 중 1035명은 티베트 현지에서 정착한 것으로 집계됐다.

여기에는 티베트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티베트의 중국화'를 통해 티베트의 분리·독립 움직임을 저지시키기 위한 목적도 담겨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 2013년부터 티베트 일부 지역에 사회기반시설과 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하는 대규모 '도시화'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티베트 사원에 중국 국가지도자들의 초상화와 오성홍기(중국 국기)를 걸도록 하는 등 사상적 지배에도 나서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 지도부가 티베트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통일전선영도소조도 구축했다. 통일전선영도소조의 주요 임무는 통일전선 문제에 관한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주요 정책 결정과 방침을 관철하고 각 지역과 기관에 대한 업무를 지휘하는 것이다. 중국에서 통일전선 업무란 티베트를 포함한 소수민족 문제, 다당 협력, 종교, 홍콩·마카오, 대만 문제, 당외 지식인 관리 등을 포괄한다.

이같은 중국의 강압적 움직임에 중국 내 티베트 지역에서는 분리독립 운동과 함께 반중국 움직임이 빈번히 일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아주NM&C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