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담화에 '과거사 사죄 표현 누락'…여야, 일제히 맹비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8-09 17:3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석유선 기자 = 여야는 9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오는 14일 발표할 전후 70년 담화(아베 담화) 초안에 '사죄' 문구가 포함돼 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데 대해 한 목소리로 비판했다.

앞서 이날 아사히신문은 아베 총리가 지난 7일 밤 회동에서 연립여당인 자민·공명당 간부들에게 보여준 담화 초안에 전후 50년 담화인 무라야마(村山) 담화와 전후 60년 담화인 고이즈미(小泉) 담화에 포함된 '사죄'는 물론 그와 유사한 문구도 없었으며 '식민지 지배와 침략'이라는 문구도 없었다고 보도했다.
 

여야는 9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오는 14일 발표할 전후 70년 담화(아베 담화) 초안에 '사죄' 문구가 포함돼 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데 대해 한 목소리로 비판했다.[사진=SBS 화면 캡처]


김영우 새누리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구두논평에서 "광복 70주년 담화문에서 아베 총리가 또다시 과거 침략사를 사죄하지 않고 외면한다면 일본은 국제사회의 신뢰와 기대를 저버리게 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무라야마 전 총리와 일본 보수 정계의 거물인 나카소네 야스히로 전 총리 등 일본 정계 원로들이 아베의 과거사에 대한 태도에 대해 문제제기를 하고 있고, 일본의 양심적인 학자 그룹도 과거사 성찰을 주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대변인은 "아베 총리는 100세를 바라보는 나카소네 전 총리 등 선배 총리들의 말과 담화문을 깃털처럼 가벼이 여겨서는 안 된다"며 "과거사에 대한 솔직한 성찰만이 일본의 성숙함을 표현할 수 있는 유일한 길임을 잊지 말라"고 지적했다.

유은혜 새정치민주연합 대변인도 구두 논평에서 "광복 70주년인 올해마저도 그런 역사적인 사죄와 반성이 없다는 것은 일본이 한일관계에 있어서 전혀 미래지향적 발전을 하겠다는 의지를 보이지 않는 것"이라며 "상징적 의미를 가진 해에 최소한의 사과와 반성도 하지 않겠다는 것은 매우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일본이 여전히 과거에 대한 사과나 최소한의 반성도 없는 것은 침략과 제국주의적 지배와 같은 과거를 반복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이 아니겠나"라고 반문했다.

유 대변인은 우리 정부에 대해서도 "광복 70주년을 맞는 올해 정부가 대일외교에서의 성과를 위해 어떤 차분한 노력을 했는지 다시 한번 정부의 외교적 무능함을 느낄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