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 정보보호 IT 인력 35% 증가...CISO 전임비중은 여전히 저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8-10 12: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DB ]


아주경제 박선미 기자 = 금융사들이 지난해 정보보호를 담당하는 IT 인력을 30% 넘게 늘리고 예산도 확대편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KB국민카드와 롯데카드, NH농협카드에서 대규모 고객정보 유출 사고가 터진데 이어 한국씨티은행과 한국스탠다드차타드(SC)은행에서도 고객정보가 유출되는 등 금융사고로 홍역을 앓았던 영향이다. 

그러나 금융사들의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의 전임 비중은 22%로 여전히 낮았다.

또 금융거래에서 스마트폰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모바일금융서비스의 일평균이용량은 45%가까이 증가했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2014년도 금융정보화 추진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내 155개 금융기관의 정보보호 관련 IT 인력은770명으로 2013년 말보다 34.1% 늘었다.

전자금융과 관련 규제가 강화되자 금융사들은 고객 정보보호를 맡길 직원을 집중적으로 채용한 것이다. 

이를 포함한 전체 금융 IT 인력은 9136명이다. 전년(8356명)에 비해 9.3%증가했다.

금융 IT 인력과 함께 IT 관련 예산도 증가했다.

지난해 금융사들의 IT 예산은 5조4982억원으로 2013년보다 13.8% 증가했다.

이중 정보보호 예산은 5670억원으로 10.3%를 차지했다. 금융당국의  IT예산 중 정보보호 예산 권고기준 7%를 넘은 것이다. 

금융사의 81.9%는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를 지정하고 있었으나 대부분이 겸임이고, 정보보호만 전담하는 비중은 22%로 낮았다.

한편, 금융사가 제공하는 모바일뱅킹 서비스 규모는 일평균 3116만건, 1조 8326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44.4%, 29.7% 증가했다.

모바일트레이딩 일평균 이용금액은 2조 2516억원이며 2014년중 동 서비스를 이용한 고객(197만명)의 98.0%(193만명)가 스마트폰을 통해 거래를 했다.

지난해 CD공동망 이용규모는 소폭 감소했지만, 금융투자공동망 및 보험공동망의 이용 규모는 대폭 줄어들었다.

전국적으로 설치된 CD·ATM은 12만2188대로 전년대비 1.6% 감소했고, 총 이용실적도 7억 9993만건, 331조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1.1%. 5.4% 줄었다.

이 기간 금융투자회사의 유가증권, 코스닥, 주가지수선물 및 옵션매매시스템 등 증권공동망 이용건수는 50억 5506만건으로 전년대비 16.3% 감소했다.

보험사의 자동차의무보험계약 조회 등 공동시스템 총 이용건수는 6억 1027만건으로 전년대비 29.6% 줄어들었다.

이밖에 국내 195개 금융기관 및 유관기관 IT담당자들은 2014년중 가장 중요한 현안사항으로 전체 조사기관의 72.4%(복수응답 가능)가 '금융과 IT기술을 활용한 핀테크 출현'을 선정했다. 이어 '금융분야 개인정보 유출 재발방지 종합대책 발표' 및 '인터넷 결제시 공인인증서 의무사용 폐지' 등이 뒤를 이었다.

올해 금융IT 전망에 대해서는 '핀테크 관련 융합서비스모델 확대'가 조사기관의 59.7%에서 응답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공인인증서, 금융편의 제공을 위해 비 설치형으로의 진화' 및 '금융 및 비금융권의 인터넷 전문은행 설립' 등을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