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드론을 활용해 도시관리해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8-10 15:2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채열 기자= 최근 활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는 드론을 부산시 도시관리에 활용하자는 주장이 나와 첨단기술의 도시관리 적용이라는 점에서 관심을 끌고 있다.

부산발전연구원(BDI·원장 강성철)은 BDI 정책포커스 ‘드론(Drone)을 활용한 도시관리’ 보고서를 내고 최근 기술이 급속 발전하고 있는 드론을 활용한 도시관리를 제안했다.

보고서는 “최근 세계적으로 무인비행체인 드론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며“글로벌 드론 시장 규모는 2014년 53억1000만 달러에서 2023년 124억7000만 달러, 상업용 무인기 시장은 같은 기간에 6000만 달러에서 8억8000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를 작성한 이원규 연구위원은 “군용으로 사용되던 드론이 상업용으로 개발되면서 물류 및 배송, 정보통신, 재해예방 및 수색, 농업, 교통상황 안내, 도시치안, 밀렵감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항공우주국은 드론을 이용해 허리케인을 감시하고 있으며, 사우디아라비아 킹압둘라과학기술대학은 드론을 이용한 홍수예측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미국 뉴욕시는 안전도시를 위해 무인기를 띄워 도심 전역을 살피겠다는 구상을 공개한 바 있고, 중국은 화학물질을 분사해 스모그를 제거하는 드론 테스트에 성공했다.

국내에서는 경기도 평택시 해양경찰서가 밀입국과 밀수범죄가 자주 발생하는 경기 남부권 해역을 감시하기 위해 드론을 실전 배치했다. 부산 해운대구는 산불과 산림훼손 감시를 위해 드론을 이용하고 있고, 산림과학원은 산림재해 및 소나무 재선충병 신속 탐지를 위해 무인항공기술을 도입하기로 했다.

이 연구위원은 “부산 시가지와 산, 바다, 강을 종합 활용하는 도시관리형 드론 테스트베드(시험대) 운영이 필요하다”며 “특히 항만, 공항, 철도 기점이며 군 시설·공항 등이 있어 드론 운영지역 한계점이 생기므로 이를 보완할 드론 운영기술 확보도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도시관리 드론 시스템 구축을 위해 ‘부산 도시관리 드론시스템 육성에 관한 조례’를 비롯해 관련 계획 수립 등 육성책 제시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최근 경기도는 ‘경기도 무인항공기(드론)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안’을 입법예고했다.

또 부산시, 부산지방경찰청, 부산지방항공청, 부산항만공사, 업계, 연구소·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드론 TF팀’의 운영도 제안했다.

드론 통행법규에 대한 연구 필요성도 제기됐다. 이 연구위원은 “향후 도시관리용 드론과 상업용 드론의 증가에 따른 비행공간 혼잡으로 드론 간 추돌사고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며 “부산시역 상공의 드론 통행을 도로교통법규 등과 동일한 내용으로 선제적으로 제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