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 12일 제암리에서 광복 70주년 행사' 개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8-11 11:4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1919년 복역 당시 작성된 홍복룡 선생의 신상기록카드 [사진=화성시 제공]


아주경제 김문기 기자 =화성시(시장 채인석)는 화성문화원 주관으로 오는 12일 오전 10시40분 제암리 순국 유적지에서 '독립유공자 후손 및 강제동원 피해자와 함께 하는 광복 70주년 행사'를 개최한다.

 이날 행사에는‘독립운동 관련 역사콘텐츠 개발사업’ 추진과정에서 발굴된 자료로 서훈을 받는 독립유공자 후손을 포함해, 일본군 시설 강제동원 피해 생존자 및 화성시 광복회 회원 등 8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시는 경기남부 최대 독립운동 발생지로, 오는 2019년 독립운동 100주기를 앞두고 화성지역 독립운동 관련 자료를 조사 연구하는 장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일제 강점기 지역의 사회 경제적 상황을 보여주는 각종 문헌자료와 독립유공자 108명의 인물자료 등을 수집했으며, 지역 탐문을 통해 독립운동 관련 유허지 90여 곳을 발굴했다.

 이러한 노력은 지난 3월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 받은 김연방 선생에 이어, 송성호 홍복용 선생에게 건국훈장 애국장과 대통령 표창이 추서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번에 서훈을 받게 된 송성호 선생은 1919년 4월 장안·우정 지역 만세운동에 대한 일제 군경의 대대적인 보복 학살과 방화 과정에서 총을 맞고 순국, 그동안 후손이 여러 차례 서훈을 요청했으나 증명 자료가 부족해 받아들여지지 않다가 2013년 공개된 3.1운동 피살자 명부에서 순절이 확인됐다.

 또 홍복용 선생은 1919년 3월 26일부터 28일까지 전개된 송산지역 만세운동과 순사부장 노구찌(野口) 처단의 주모자로 지목돼 징역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뤘다. 그러나 당시 다른 이름을 사용한 이유로 후손을 찾지 못하다가, 시의‘독립운동 관련 역사콘텐츠 개발사업’ 추진과정에서 관련 자료가 발굴돼 서훈이 가능하게 됐다.

시 관계자는 "지속적인 자료조사 및 연구와 함께 독립운동 정신을 기릴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 개발을 추진 중"이라며 “독립운동 100주기까지 화성지역 독립운동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후손들이 독립운동 정신을 배우고 이어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