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울릉도 고유식물 섬기린초 피부 미백효과 입증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8-27 14:5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국립생물자원관-아모레퍼시픽과 화장품 개발 특허 출원

아주경제 배군득 기자 = 독도와 울릉도에서만 자라는 우리나라 고유식물인 섬기린초가 피부 미백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아모레퍼시픽과 올해 2월부터 6개월간 공동연구를 통해 섬기린초 미백 기능을 확인하고 지난 21일 특허를 출원했다.

이번 특허 출원을 바탕으로 아모레퍼시픽은 섬기린초를 소재로 한 미백 화장품을 개발 중이며 최종 원료화 과정을 거쳐 향후 1~2년 내에 상용화 제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미백 기능 연구에 사용된 섬기린초는 국립생물자원관이 국가야생식물종자은행 사업을 통해 지난 2013년 독도와 울릉도에서 종자를 확보해 대량증식에 성공한 자생식물이다.

섬기린초를 화장품 소재로 이용하기 위한 식물증식은 ‘자생식물 복원 파트너십’과 연계해 청주소년원과 국군교도소 내에서 이뤄지고 있다.

국립생물자원관과 아모레퍼시픽은 섬기린초에 피부 미백 효능이 뛰어난 ‘2,6-디-O-갈로일알부틴(2,6-di-O-galloylarbutin)’ 성분이 들어있다는 사실을 지난 5월 관련 연구를 통해 확인했다.

2,6-디-O-갈로일알부틴은 알부틴과 갈릭산이 결합된 물질로 알부틴과 갈릭산은 각각 미백 효능 물질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알부틴은 2001년부터 식품의약안전처 미백 고시 원료로 등재돼 피부 미백 화장품 원료로 사용 중이다.

이 두 가지 미백 물질이 섬기린초 내에서는 자연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존재하며 추출물 내에 1g 당 50㎎이 들어 있다. 섬기린초는 돌나무과 식물로 울릉도와 독도 일대의 양지바른 해안가 절벽 틈이나 숲 가장자리 풀밭에서 자란다.

김상배 국립생물자원관 관장은 “국민 정서상 특별한 의미를 갖는 독도에 자생하는 식물이 훌륭한 생물산업 소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이번 연구를 통해 확인했다”며 “앞으로 국내 고유식물을 활용한 유용 소재 연구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