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장애 매년 증가 추세…정부 지난해 종합대책 발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송종호 기자
입력 2019-02-25 08:4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종합대책 기대 속 피부로 느끼기엔 부족하다는 우려도 공존

보건복지부가 지난해 발표한 발달장애인 평생케어 종합대책. [사진=보건복지부 제공]

25일 배우 권오중이 발달장애 아들을 둔 심경을 털어놓은 가운데 국내에서만 22만6000여명(2018년 기준)의 발달환자가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의료계에 따르면 발달장애는 선천적으로 또는 발육 과정 중 생긴 대뇌 손상으로 인해 지능 및 운동 발달 장애, 언어 발달 장애, 시각, 청각 등의 특수 감각 기능 장애, 기타 학습장애 등이 발생한 상태를 말한다.

발달장애인수는 2018년 현재 22만 6,000명(지적 20만 1000명·자폐성 2만 5000명)으로 성인이 17만명(75%), 영유아 및 아동이 4만7000명(21%), 65세이상이 약 9000명(4%)이다. 발달장애인은 매년 증가 추세(연 3.6% 증가)라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문재인 정부는 포용복지국가를 국정기조를 내세우며 장애인 복지정책에도 힘을 쏙고 있다. 지난해 9월 정부는 보건복지부를 필두로 고용노동부, 교육부 등 관계 부처가 협업해 지난해 다함께 잘사는 포용국가를 위한 발달장애인 평생케어 종합대책(이하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당시 집에만 머무르는 발달장애인 비율을 크게 낮추고(26%→2%), 발달장애인의 고용률을 전체 장애인 수준으로 높이는(23%→36%) 등의 종합대책을 통한 목표를 밝혔다.

하지만 아직까지 발달장애인과 그 가족이 종합 대책의 성과를 피부로 느끼기에는 아직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한 발달장애인 가족은 “정부의 발달장애인 정책이 점점 나아지고 있는 것 같다”면서도 “아직 가족들이 적극적으로 찾아보지 않으면 정부가 제공하는 부분을 느끼기에 어려운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