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꽉 막힌 내수시장' 팔 걷어붙인 허성무 창원시장 "시장원리에 못 맡겨"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창원) 최재호 기자
입력 2019-09-03 13:2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3일 가자회견서 "막힌 경제동맥증 소비로 뚫겠다"…1226억 투입 3대 경기부양책 추진

허성무 시장이 3일 기자회견을 갖고 있는 모습. [사진=창원시 제공]


“'먹고 살기 어렵다’는 말은 더 이상 상투적인 표현이 아닙니다. 대내·외 어려운 경제상황이 더해지면서 서민 경제의 핵심 축인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의 얼굴엔 주름과 시름이 깊어가고 있습니다"

올 한해를 ‘창원경제 부흥의 원년’으로 선포한 허성무 창원시장이 "출구 없는 부진의 터널로 내몰리고 있는 내수시장을 민간 시장 원리에 맡길 수만은 없다"며 △내수상권 강화 △소비 촉진 △관광효과 증진 등 3대 경기부양 대책을 발표하고 나섰다.

허 시장은 3일 기자회견을 갖고  "창원국가산단 스마트 선도 산단 선정,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 등과 같은 주력 산업의 변화과 혁신을 가져다 줄 결실을 거뒀지만 이런 기업 활성화 정책들은 그 파생효과를 단기간에 지역내로 흘러들게 하기는 어렵다"고 대책 발표의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이번 대책의 핵심은 내수 시장의 ‘돈맥경화 현상’을 빠르게 해소하고, 민생경제 선순환 구조를 강화해 지역 내 돈을 순환시키는 데 있다"며 3대 전략, 13개 중점 과제, 51개의 세부실천과제를 제시했다. 이번 대책과 관련, 창원시는 국·도비 1226억원을 투입하게 된다. 

◇내수상권 강화…창원사랑상품권 500억 규모 확대 

허 시장은 먼저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에게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방안으로 △창원사랑상품권 확대 발행 및 활성화 유도 △ 경쟁력있는 전통시장 조성 추진 △ 소상공인 전지적 지원 △ 지역 생산품 홍보 지원 및 판로개척 지원 등 4개의 중점 과제를 내놨다. 

먼저 지난 8월 100억 원을 발행해 좋은 호응을 보이고 있는 창원사랑상품권을 내년 500억원으로 다섯 배 확대 발행키로 했다. 한다. 경품행사, 가맹점 선도지역 이벤트 등 다양한 이벤트를 추진해 상품권 이용 붐도 일으킨다.

마산어시장에는 내년 상반기 밤도깨비야시장을 새롭게 개설해, 모든 계층이 찾을 수 있는 야간 관광명소로 조성한다. 내년 1월부터는 종사자 10인 미만인 소상공인 사업장에 4대 보험료 사업주 부담분을 지원하고, 해군가족 이용 할인 업소를 진해권 중심에서 창원 전역으로 확대한다. 2020년 상반기부터 창원에서 생산되는 농산물과 가공품으로 구성된 명절맞이 창원 농산물 종합세트를 보급하고, 농산물 직거래 장터인 로컬푸드 행복장터를 확대 운영하는 등 지역 생산품 홍보와 판로 개척에도 나선다.

◇가계 살림 부담 완화를 통한 소비 촉진

시는 지역상권에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해 △ 생활 밀접 경비 지원 △저소득층 에너지 복지 강화 △ 청년·신중년 인센티브 지원 강화 △ 위기산업 및 새로운 먹거리 분야 일자리 창출 △ 생애맞춤형 고용서비스 강화 △공공·사회적경제 일자리 창출 등 6개 중점과제를 추진한다.

내년부터는 저소득층과 다자녀 가정을 대상으로 대학생 학자금 대출이자가 지원된다. 관내 대학 전입 청년가구에 대해서는 대학생 생활 안정자금을 연 36만원 지급하는 사업도 새롭게 시행된다. 오는 11월부터는 신혼부부 전용 전세대출 받은 시민도 창원시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며, 농업인 월급제도 내년부터 시범 실시된다.

직장인이 출근길 영세식당에서 조식을 이용하고 창원사랑상품권으로 결제 할 경우, 식사 금액을 최대 20% 할인해 주는 사업도 내년 상반기부터 선보일 예정이다. 청년 내일통장 대상자 모집 횟수도 연 2회로 확대되고, 신중년 실직자가 재취업에 성공할 경우 축하금 30만원을 지원하는 사업도 새롭게 추진된다.

◇관광객 유인책 강화···관광효과 지역 상권 유입

관광객을 지역 상권으로 빨아들이는 파이프 라인으로 유도하기 위해 △ 관광자원과 지역경제 파이프 라인 구축 △ 관광객 유치기반 마련 △ 관광자원 확충으로 사계절 찾는 관광도시 도약 등 4개 과제를 추진한다.

우선, 개장 예정인 마산로봇랜드 방문객이 마산어시장을 이용할 경우 결제금액을 할인해 주는 혜택을 제공하고, 기존 노상 주차장을 활용한 관광버스 승·하차장 확보와 함께 어시장 주변에 관광버스 주차장 15면을 추가로 조성한다. 또한, 외부 관광객이 주요 유료 관광지를 방문할 경우, 입장료 일부를 창원사랑상품권으로 지급하는 제도를 마련해, 관광객의 지역 내 소비를 진작시킨다는 계획이다.

관광자원도 늘어날 전망이다. 낙동강 수변생태공원에는 야외 수영장이 조성되며, 진해해양공원 솔라타워에 미디어파사드 시설이 들어선다. 아울러, 관내 유인섬을 활용해, 반려동물 놀이터, 숙박시설 등이 조성되는 애견 동반 전용 아일랜드 멍섬’개발 사업도 추진된다. 

새로운 축제도 열린다. 오는 9월에는 오동동 아구거리에서 아맥축제가, 11월에는 신마산 통술거리 문화축제가 열리며, 내년 상반기에는 전국 대학생 e스포츠대회가 개최될 예정이다.

시가 이날 발표한 대책에는 국·도비를 포함 1226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생산유발효과는 2750억원, 고용유발효과는 2819명으로 추산하고 있다.

허성무 시장은 “이번 대책은 우리 창원을 활력있는 경제 순환도시로 견인하는 초석이 될것이라 확신한다”며 “경기가 살아나고 있다, 살맛 난다는 것을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시의 모든 역량을 쏟아 부어 사업 추진에 속력을 내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