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4차 유엔 총회 일정을 마치고 26일 귀국하는 문재인 대통령이 "평화도, 경제활력도, 개혁도 변화의 몸살을 겪어내야 더 나아지는 방향으로 갈 수 있다고 믿는다"며 "나라다운 나라에 우리는 아직 도달하지 못했다. 우리의 위상을 높이는 것은 남이 아닌 바로 우리 자신"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귀국길에 오르기 전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이같이 전했다. 문 대통령이 귀국 후 시즌 2에 접어든 '조국 정국'에 관한 메시지를 던질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뉴욕을 떠나며'라는 제목의 글에서 문 대통령은 "뉴욕은 다양한 사람들이 다양한 힘을 쏟아내는 곳이다. 세계를 이끄는 미국의 힘을 느낀다"며 "하지만 역동성에서는 우리도 결코 뒤지지 않는다. 우리는 반드시 희망을 현실로 만들어낼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저는 올해 두 개의 목표를 가지고 유엔총회에 참석했다"며 "(첫째는) 국제사회로부터 우리가 받은 이상으로 책임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기후행동과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다자주의적 노력에 우리의 몫을 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둘째는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를 위한 새로운 제안"이라며 "기조연설에서 밝힌 비무장지대(DMZ)의 국제평화지대화가 그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DMZ 국제평화지대화'를 언급, "북한이 진정성 있게 실천할 경우 유엔이 할 수 있는 상응 조치이자, 북한의 안전을 보장하면서 동시에 우리의 안전을 보장받는 방법"이라며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을 비롯해 많은 호응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유엔총회에 3년을 계속해서 참석했다"며 "국제사회에 우리의 의지를 전달하고 함께 행동해야 할 일이 많아졌기 때문"이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국제회의에 참석할 때마다 우리의 위상을 실감한다"며 "우리나라에 대한 관심과 기대는 오직 우리 국민들이 이뤄낸 성취"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귀국길에 오르기 전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이같이 전했다. 문 대통령이 귀국 후 시즌 2에 접어든 '조국 정국'에 관한 메시지를 던질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뉴욕을 떠나며'라는 제목의 글에서 문 대통령은 "뉴욕은 다양한 사람들이 다양한 힘을 쏟아내는 곳이다. 세계를 이끄는 미국의 힘을 느낀다"며 "하지만 역동성에서는 우리도 결코 뒤지지 않는다. 우리는 반드시 희망을 현실로 만들어낼 것"이라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9/26/20190926084340184880.jpg)
문재인 대통령이 24일 오후(현지시간) 뉴욕 유엔 총회장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저는 올해 두 개의 목표를 가지고 유엔총회에 참석했다"며 "(첫째는) 국제사회로부터 우리가 받은 이상으로 책임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기후행동과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다자주의적 노력에 우리의 몫을 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DMZ 국제평화지대화'를 언급, "북한이 진정성 있게 실천할 경우 유엔이 할 수 있는 상응 조치이자, 북한의 안전을 보장하면서 동시에 우리의 안전을 보장받는 방법"이라며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을 비롯해 많은 호응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유엔총회에 3년을 계속해서 참석했다"며 "국제사회에 우리의 의지를 전달하고 함께 행동해야 할 일이 많아졌기 때문"이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국제회의에 참석할 때마다 우리의 위상을 실감한다"며 "우리나라에 대한 관심과 기대는 오직 우리 국민들이 이뤄낸 성취"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