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예비후보들이 3일 오후 서울 여의도 KBS에서 열린 첫 합동 토론회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용진, 이낙연, 추미애, 김두관, 이광재, 최문순, 정세균, 이재명, 양승조 후보.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대권주자들이 3일 밤 첫 TV토론에서 여권 지지율 1위를 달리는 이재명 경기지사에게 집중적으로 질문을 던졌다. 이 지사의 정책 브랜드인 기본소득, 사면, 지역주의 등을 놓고 다른 주자들이 공세에 나서면서 '반이재명 전선'이 선명하게 그려졌다.
이 지사는 이날 KBS 주관으로 열린 첫 합동 토론회에 '기본소득 공약을 폐기할 생각이 없냐'는 정세균 전 국무총리의 질문에 "기본소득은 1번 공약이라고 할 수도 없고 순차적·단계적 도입을 말한 이후에 바뀐 게 없다"고 답했다.
이어 1인당 돌아가는 기본소득 금액이 적다는 지적에 "소액에서 고액으로 연차적·점진적으로 늘린다고 말했다"고 설명했다. 이 지사는 "예산 절감으로 재원은 약 25조원, 이후 국민이 동의하면 50조~60조원 정도는 세금 감면분을 줄여가면 (연간) 1인당 50만원을 확보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국민이 전적으로 동의하면 본격적으로 증세해 기본소득을 도입할 것"이라고 했다.
박용진 의원은 이 지사를 향해 말 바꾸기를 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기본소득이 제1의 공약이 아니라고 해서 제 귀를 의심했다. 말을 바꾸면 정책적 신뢰를 얻지 못해 불안하다. 표리부동 정치인이라는 지적을 받는다"고 했다. 이에 이 지사는 "말꼬리 잡지 마라. 아직 공약을 내지 않았다. 그래서 바뀐 게 없다"며 "기본소득의 순차적‧단계적 도입은 말했지만, 말이 바뀌지는 않았다"고 답했다.
또 박 의원은 "집값 잡자고 다주택자들에게 징벌적 과세를 하자고 하더니 얼마 전에 별장도 생필품이라며 다주택자에게 다른 기준을 제시했다"며 "계속 말 바꾸기를 해도 되냐"고 했다. 이에 이 지사는 "별장은 주거용이냐 투자용이냐를 구분해야 한다는 얘기"라며 "시골에 어머니가 계시는 집은 보호할 필요가 있지만, 투기 투자용 다주택인 경우에는 더욱더 강력하게 제재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자 박 의원은 투자와 투기를 판단하기는 쉽지 않다고 반박했다. 그는 "별장이 생필품이라면 생필품 없는 국민 억장은 무너질 것"이라며 "말씀을 취소하는 게 맞지 않냐"고 했다. 그러자 이 지사는 "말꼬리 잡지 말라"며 "주거용이냐 아니냐를 보자는 것"이라고 일축했다.
두 사람은 사면을 놓고도 맞붙었다. 박 의원은 이 지사를 향해 "2017년 대선 당시 문 대통령에게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사면은 안 된다, 국정농단 세력들을 사면하면 절대 안 된다고 압박한 분이 지금은 슬쩍 발을 빼고 있다"고 했다. 이에 이 지사는 "사면 문제는 법 앞에 평등을 관철해야 한다. 특혜를 줘서도 안 되지만 (사면을) 공약한 일도 없다"고 했다.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는 이 지사의 '영남 역차별' 발언을 문제 삼았다. 이 전 대표는 "지역 문제에 너무 거칠게 접근한 잘못이 있다"고 했다. 이어 "영남이 역차별을 받고 있다는 접근은 정부가 노력해 온 것을 정면으로 부정하는 것"이라며 "잘못하면 지역주의 망령이 되살아나고 거짓 해명을 하는 지도자는 신뢰받지 못한다"고 했다. 이에 이 지사는 "그렇게 받아들이면 어쩔 수 없다. 오해를 안 했으면 한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