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경선 방식에 국민참여경선 유력해지자 비명계 반발 나서

  • 김두관·김동연 등 비명계, 당내 국민참여경선 유력해지자 보이콧도 검토

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 1차 회의에서 이춘석 위원장왼쪽 세번째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 1차 회의에서 이춘석 위원장(왼쪽 세번째)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당규위)가 12일 당내 대선 경선 방식을 확정할 예정이다. '역선택' 방지를 내세우며 국민참여경선으로 개정하는 방안이 유력한 상황 속 비명계 주자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김두관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측은 각각 입장을 밝히며 경선 보이콧까지 검토 중이다.

이날 민주당 당규위는 오전 11시 당원 토론회에 이어 오후 2시께 전체회의를 열고 경선룰 개정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당규위가 의결한 경선룰을 두고 의원총회 논의를 거친 후 최고위원회와 당무위원회 의결까지 마무리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민주당 내에선 '권리당원 투표 50%·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로 후보를 선출하는 '국민참여경선'과 당원과 일반 국민 모두에게 1인 1표를 보장하는 방식인 '국민경선' 방식이 충돌 중이다.

당원 비율이 최대 50%까지 확대되는 국민참여경선의 경우 당 대표를 연임해 권리당원 다수의 절대적 지지를 받고 있는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에게 유리하다. 이에 비명(비이재명)계 주자들은 국민경선 전통을 깨면서까지 이 전 대표에게 일방적으로 유리한 방안을 밀어붙인다며 반발하고 있다.

김 전 의원 측은 "민주당 지도부가 후보자들의 의견을 일체 듣지 않고 계속불통한다면, '어대명 추대 경선'의 들러리로 나서는 것에 대해 깊이 고민할 수밖에 없다"며 "지금은 다양성과 민주적 과정을 통해 통합의 길을 걸어야 할 때"라고 경고했다.

김 지사 측도 "'시간이 없다', '역선택이 우려된다'는 구실로 국민경선을 파괴하는 결과를 보인다면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며 "강력히 반발하는 후보들이 있는데 일방적으로 정해진다면 누구를 위한 룰인가"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