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소식] 경기도, 섬유기업 신소재 개발·친환경 인증 맞춤 지원 外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의정부=임봉재 기자
입력 2024-04-03 10:51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경기도는 도내 섬유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신소재 개발 등 3대 사업을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경기도는 오는 11일 양주에서 사업설명회를 열 예정으로, 참여 희망 기업은 한국섬유소재연구원 홈페이지에서 신청서를 내려받아 이메일로 신청하면 된다.

    경기도는 섬유분야 유해 물질 시험분석 및 인증 지원 사업을 벌여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 '어린이제품 안전특별법'에서 요구하는 제품 안전 시험 수수료를 지원한다.

  • 글자크기 설정
  • '관련법에 맞는 제품 안전 시험 수수료도 지원'

경기도 북부청사사진경기도 북부청
경기도 북부청사[사진=경기도 북부청]

경기도는 도내 섬유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신소재 개발 등 3대 사업을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한국섬유소재연구원과 △섬유기업 맞춤형 신소재 개발 △섬유·패션 친환경 글로벌 인증 △섬유 분야 유해 물질 시험 분석 및 인증 등을 추진한다.

섬유기업 맞춤형 신소재 개발 사업은 고부가가치 첨단 산업용 시제품 제작과 사업화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 시제품 제작비를 비롯해 지식재산권 확보에 필요한 제안 기술 선행 특허 조사를 추가로 지원한다.

지원 대상은 도내 소재 산업용 섬유소재 생산기업이거나 산업용 소재로 전환을 희망하는 기업이다.

기업당 최대 2200만원을 지원하며, 신청은 오는 15~19일까지 한국섬유수출입협회 사업 관리 플랫폼을 통해 하면 된다.

경기도는 섬유·패션 친환경 글로벌 인증 지원 사업을 통해 해외시장 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섬유·패션 분야 중소기업의 글로벌 친환경 인증 획득 비용을 지원한다.

세계적인 친환경 인증인 오코텍스(OEKO-TEX) 등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인증 취득 관련 비용의 최대 70%까지, 기업당 최대 2개 인증 비용, 최대 1800만원까지 지원할 예정이다.

경기도는 오는 11일 양주에서 사업설명회를 열 예정으로, 참여 희망 기업은 한국섬유소재연구원 홈페이지에서 신청서를 내려받아 이메일로 신청하면 된다.

경기도는 섬유분야 유해 물질 시험분석 및 인증 지원 사업을 벌여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 '어린이제품 안전특별법'에서 요구하는 제품 안전 시험 수수료를 지원한다.

기업 유형에 따라 소상공인 80%, 중소기업 60% 범위에서, 기업당 최대 300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지원 품목은 안전 기준 준수 대상 제품, 공급자 적합성 확인대상 제품, 안전 확인 대상 제품이다.
 
경기도, 유선·도선 사업장 안전관리 실태 점검
경기도는 오는 10월까지 도내 12개 유선·도선 사업장의 선박 98척을 대상으로 안전관리 실태를 합동 점검한다고 3일 밝혔다.

행락 철 유선·도선 이용객 증가에 따른 사고 예방 차원이다.

점검 대상은 △선박 및 선착장 안전성 △인명 구조 장비 비치 적정성 △사업장 안전 수칙 준수 여부 △사고 발생 시 대응 방안 등이다.

점검 사업장은 가평 남이섬·HJ레저개발·청평페리·미니맥스·첫집유선장, 평택 평택호레저타운, 파주 디엠제트관광, 안성 강건너빼리, 의왕 백운보트장 등이다.

특히 경기도는 규모가 큰 파주, 가평, 여주의 경우 행정안전부, 해양교통안전공단 등 유관기관과 함께 합동 점검을 진행할 계획이다.

점검 결과 안전 관리 미흡 등이 적발된 사업장에 대해서는 시정될 때까지 추적 관리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