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챗GPT' 만든다...'AI 국가대표' 선발해 정부 차원 지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윤선훈 기자
입력 2025-02-20 17:4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일 서울 중구 서울스퀘어에서 열린 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일 서울 중구 서울스퀘어에서 열린 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인공지능(AI) 국가대표' 선발에 나선다. 선정된 기업들에게 그래픽처리장치(GPU)·데이터 등 각종 연구 자원을 집중 지원한다. 이를 토대로 '한국형 챗GPT'를 개발, 전 세계 최고 수준의 거대언어모델(LLM)을 출시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웠다. 향후 국가인공지능위원회를 구심점으로 범부처 AI 역량을 결집하고 국가 AI 정책의 추동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국가인공지능위원회는 20일 서울 중구 서울스퀘어에서 개최한 제3차 전체회의에서 이같이 밝혔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위원장은 모두발언에서 "정부는 빠른 시일 내 세계 최고 수준의 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하고, 컴퓨팅 자원과 데이터 등 인프라를 확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정부는 독자적 AI 모델 경쟁력 확보를 위해 고성능 AI 모델 개발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가칭) 월드 베스트 LLM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AI 국가대표 정예팀'을 통해 우수 기업을 선정한다. 선정 기업에는 GPU·데이터 지원은 물론 글로벌 핵심 인재 유치를 위한 연구비 등의 지원도 확대한다. 이를 통해 최대한 빠른 시일 내 세계 최고 수준의 LLM을 개발토록 한다. 정부는 이들이 개발한 우수 AI 모델을 공공·민간 영역으로 확산할 계획이다.

정부는 연내 관련 공모를 내고 사업자를 모집할 예정이다. 개별 업체가 응모할 수 있지만 몇몇 기업이 팀을 짜서 응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업자들이 응모를 하면 허깅페이스 벤치마크 점수 등 다양한 평가 기준을 토대로 선정해 집중 지원한다. 현재 5~10팀 정도 선정하는 것을 염두에 두는 것으로 알려졌다. 추가경정예산(추경) 확보를 통해 선정 팀 숫자를 늘리는 것도 검토 중이다.

유망 기업들을 선정해 정부 차원에서 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은 그간 업계에서 꾸준히 제기돼 왔다. 지난 6일 열린 국가인공지능위원회의 '국내 AI산업 경쟁력 진단·점검 회의'에서도 업계·학계 관계자들이 미국·중국 등을 따라잡기 위한 '추격조'를 구성해 이들에게 지원을 몰아줘야 한다는 주장을 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