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선영의 아주-머니] 소비쿠폰 받았다면…이젠 똑똑하게 쓸 차례

  • 식당 키오스크·테이블오더 대신 직접 결제 요청

  • 배달앱도 '만나서 결제'하면 소비쿠폰 이용 가능

  • '땡겨요'로 2만원 3회 주문하면 1만원 환급 혜택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21일부터 시작된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신청에 국민 절반 이상이 참여하면서 이제 관심은 어디에, 어떻게 쓰는지에 쏠리고 있다. 프랜차이즈·공공배달앱·간편결제를 조합하면 포인트·캐시백·환급이 따라오는 만큼 사용 전 꼼꼼한 확인이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소비쿠폰은 대형마트, 백화점, 유흥업소를 제외한 연 매출 30억원 이하의 소상공인 업체에서 쓸 수 있다. 가맹점 역시 연 매출 30억원 이하인 곳만 가능하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매장 외관이나 간판만으로는 직영점과 가맹점 구분이 쉽지 않아 쿠폰 사용 가능 매장임을 알리는 홍보물이나 홈페이지 등을 통해 미리 확인할 필요가 있다. 네이버페이·토스 등에서 제공하는 전용 지도로 소비쿠폰 사용 가능 가맹점을 쉽게 확인할 수도 있다.

식당에 따라 키오스크나 테이블오더가 설치돼 있는 경우에도 소비쿠폰 사용이 안 될 수 있다. 중간에 결제대행사가 끼어 있어서 소비쿠폰 사용 가능 매장인지 판별이 쉽지 않은데 이럴 때는 직원에게 매장 내 단말을 이용해 직접 결제를 요청하면 된다.

배달 주문 시에는 결제 방법에 따라 소비쿠폰 가능 유무가 결정된다. 배달앱은 실제 판매업체의 매출액과 지역 확인이 불가능해 원칙적으로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쓸 수 없다. 그러나 배달기사를 만나 가맹점 자체 단말기를 사용해 대면으로 결제할 때는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있다.

지자체가 자체 운영하는 공공배달앱의 혜택은 더 크다. 서울시민이 서울사랑상품권으로 소비쿠폰을 받았다면 공공배달앱 '서울배달+ 땡겨요'를 이용할 수 있다. 2만원 이상 3회 주문하면 1만원을 환급해 주는 행사를 진행 중이어서 혜택도 크다. 환급금은 서울사랑상품권 잔액으로 충전돼 재사용할 수도 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관련한 스미싱(문자메시지를 이용한 피싱) 피해는 주의해야 한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지급 안내 등의 내용으로 정부나 금융회사를 사칭한 문자메시지의 URL에 접속할 경우 개인정보 노출과 금융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클릭해서는 안 된다. 출처가 의심스러운 URL 주소를 클릭할 경우 피싱사이트로 연결되거나 악성앱이 설치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