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임시회 기간 중에는 김재천·이경애·유이수·성중기·심부건·최광호·서남용 의원 등의 5분 자유발언과 ‘완주군 민원응대 공무원 등의 보호 및 지원 조례 전부개정조례안’, ‘완주군 친환경 상패 이용 활성화 지원 조례안’ 등 총 17건의 조례안이 처리됐ㄷ,
또한 각 실과별 2025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 등이 이뤄졌다.
특히 이경애·김규성·이순덕·유이수·성중기·이주갑 의원은 신상발언을 통해 완주군과 전주시의 통합의 불합리성에 대해 성토했다.
김규성 의원은 “완주·전주 행정통합 논의가 완주군 농업·농촌의 기반을 훼손한다”며 “통합 찬성 단체가 제시한 105개 상생발전 방안이 ‘실질적 지원 없는 형식적 약속’”이라고 지적했다.
이순덕 의원은 “완주·전주 행정통합이 완주 교육의 자치권을 훼손하고 교육 지원을 축소시킬 것”이라며 통합 추진 시 예상되는 교육 분야의 피해 사례를 구체적으로 지적하며, “아이들의 미래가 정치 논리에 희생되어선 안 된다”고 호소했다.
유이수 의원은 완주·전주 행정통합을 “완주의 역사적 정체성을 짓밟는 침탈 행위”로 규정하며, 완주가 임진왜란과 동학농민운동 등 위기마다 스스로를 지켜온 역사를 언급했다.
성중기 의원은 “완주·전주 행정통합 추진은 완주의 정체성 파괴와 자치 퇴보”라고 규정했다. 이어 과거 청주·청원 통합 사례에서 약속된 지원책이 이행되지 않아 주민 실망만 남긴 점을 예로 들며, “실행 계획과 강제성 없는 통합 논의는 정치의 실패”라고 성토했다.
이주갑 의원은 전주시와의 행정통합 논의가 주민 참여 없이 정치적 야욕에 따라 추진된다며 강력 반대 입장을 재확인하고, “통합은 완주의 정체성과 자치권을 훼손하고, 재정 부담만 떠안길 것”이라며 통합 논의 즉각 중단과 완주의 자치권 보장을 촉구했다.
유의식 의장은 폐회사를 대신해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내는 서한문을 낭독했다.
유의식 의장은 서한문을 통해 “전북특별자치도와 전주시가 주도하는 완주·전주 통합은 대통령께서 강조하신 ‘생존과 균형’의 철학과 정면으로 충돌한다”며 “균형발전을 위한 정책의 실효성을 스스로 무력화시키는 결과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통합 이후 완주군이라는 행정 단위가 소멸되면, 인구소멸 위기 지역에 대한 가중치 적용 등 정부의 지원정책 대상에서 배제되는 역설적인 상황이 벌어진다”며 “이는 정부가 추구하는 지역균형발전의 근간을 흔드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