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방문은 유럽연합(EU) 내 ‘자율주행 분야 주도’를 목표로, 카카오모빌리티 사례 참조를 희망한 벨기에 측 요청으로 성사됐다.
브라인세일스 국장은 먼저 카카오모빌리티에서 준비한 자율주행 차량에 탑승해 약 30분간 판교 일대를 주행했다.
이후 실내로 장소를 옮겨 카카오모빌리티의 △자율주행 시대 대비 현황 △서울 자율주행차 운송플랫폼 민간사업자 선정 후 활동 경과 등에 대해 설명을 들었다.
△이용자 성향·서비스 통계 등을 토대로 모빌리티 최적화에 기여하고 있는 점 △관제·운영·자율주행 기술·디지털 트윈(현실세계의 가상화) 등 여러 요소에서 두루 강점을 갖춘 점을 긍정 평가했다.
그는 “카카오모빌리티가 한국 정부와 긴밀한 협업으로 자율주행 상용화 목적 제도 및 서비스를 만들어 가는 데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말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국내에서도 자율주행이 본격화하는 데 다각도로 대비하고 있다. 자체 개발 자율주행차 키트(AV-Kit)가 탑재된 ‘3세대’ 자율주행 차량으로 대규모 데이터를 수집하고, 오토라벨링(데이터 라벨 자동부착)을 통해 자동 분류하는 효율적인 대규모 학습 데이터 생성 체계를 구축해나가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