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재정부 관계자들이 지난달 31일 진행된 수요응답형 교통 시범사업 개통식에 참석한 모습 [사진=기획재정부]
기획재정부는 한국 기업이 개발한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수요응답형 버스 시범 사업을 헝가리에서 개시한다고 3일 전했다.
기재부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헝가리 괴될뢰시에서 최병석 경제협력기획과장과 김형태 한국개발연구원 부원장, 사볼치 소노키 헝가리 국가경제부 기술차관보 등이 참석한 가운데 '수요응답형 교통 시범사업 개통식'이 진행됐다. 이날 개통식은 경제혁신 파트너십 프로그램의 중간결과로 진행됐다.
기재부는 지난 2022년부터 경제혁신 파트너십 프로그램을 통해 헝가리에 '친환경 스마트 모빌리티'를 주제로 정책 방향을 논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교통, 물류, 전기차 배터리 분야 등을 중심으로 제도기획, 기술실증, 재원연계 등 모든 과정이 대상이다.
이번 수요응답형 버스의 경우 우리 기업이 개발한 AI 기반의 경로 최적화 기술을 유럽에서 적용한 첫 사례로 교통 이용자의 만족도 향상과 더불어 탄소 저감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헝가리의 수요응답형 버스 정책은 시범사업 이후 결정될 예정이다. 기재부는 우리 기업의 헝가리 전역·유럽시장 진출을 위한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재부는 "향후에도 경제혁신 파트너십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과 협력국의 상호 호혜적인 경제협력 기회를 적극 발굴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재부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헝가리 괴될뢰시에서 최병석 경제협력기획과장과 김형태 한국개발연구원 부원장, 사볼치 소노키 헝가리 국가경제부 기술차관보 등이 참석한 가운데 '수요응답형 교통 시범사업 개통식'이 진행됐다. 이날 개통식은 경제혁신 파트너십 프로그램의 중간결과로 진행됐다.
기재부는 지난 2022년부터 경제혁신 파트너십 프로그램을 통해 헝가리에 '친환경 스마트 모빌리티'를 주제로 정책 방향을 논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교통, 물류, 전기차 배터리 분야 등을 중심으로 제도기획, 기술실증, 재원연계 등 모든 과정이 대상이다.
이번 수요응답형 버스의 경우 우리 기업이 개발한 AI 기반의 경로 최적화 기술을 유럽에서 적용한 첫 사례로 교통 이용자의 만족도 향상과 더불어 탄소 저감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재부는 "향후에도 경제혁신 파트너십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과 협력국의 상호 호혜적인 경제협력 기회를 적극 발굴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