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는 육상 교통의 양대 축 중의 하나인 고속도로를 경유해 서울을 연결하는 시외버스 망의 부재로 인한 시민들의 이동권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경산시는 현대에 들어와서 상전벽해라는 말이 어울릴 정도의 발전을 거듭해 경북 3위의 도시로 급성장했으며 앞으로도 경북도 전체에서 가장 전도 유망한 도시의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경산의 도시 위상과는 별개로 경산이 가지고 있는 도시 인프라는 허술하다. 도시기반시설도 팽창하는 인구에 비례하지 못 하지만 이 중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는 광역 장거리 교통 수단의 불비다.
경산은 오랜 세월 동안 대구시의 배후도시로서 대구시 대중교통의 반사적 이익의 혜택을 입은 것은 사실이다. 특히 대구 시내버스와 대구시 광역도시철도 1·2호선이 경산시 관내까지 연결돼 광역도시급의 교통 서비스를 제공 받고 있다.
하지만 이런 편리한 기반 교통 시설의 혜택에 묻혀 경산만의 광역교통 체계와 수단의 불비가 시민들의 생활에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수도 서울로 연결되는 육상 교통 수단이 없다는 것이 그 예다.
경산시는 120여 년 전부터 경부선 철도의 반사적 이익을 등에 업고 성장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어 현대에 들어서도 도시의 성장이 경부고속철도와 별개로 논할 수 없다. 그러나 경부고속철도 즉 KTX의 혜택은 미미하다.
경산역에 KTX는 하루 왕복 4번 정차한다. 처음에는 하루 왕복 2번 정차하다가 최근에야 왕복 4번으로 증편 운행하고 있다.
증편을 두고 선거철에 맞춰 정치인들의 선심성 공약의 대상이 되는 서글픈 현실에 직면하고 있어 씁쓸함을 자아낸다.
또한 육상 교통의 하나의 축인 서울로 통하는 시외버스는 현재는 운행하지 않고 있다. 코로나19 이전에는 경산~동서울 간 시외버스가 오전 오후 각 1회씩 운행되고 있었다.
이후에는 운행하는 버스 회사의 요청에 따라 청도와 시지를 경유하며 운행하고 있었는데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빌미로 2020년 경에 운행을 잠정 중단하더니 ‘코로나19’ 상황이 없어지고 모든 것이 제자리로 돌아온 지금의 상황에서도 오직 경산-동서울 간의 시외버스 운행만 재개가 요원한 상황이다. 이에 반해 인천공항으로 운행하는 버스는 아직도 건재하게 존속하고 있어 의구심이 들게 한다.
이에 경산 시민들 사이에서는 경산-동서울 간의 노선 재개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져 가고 있다.
특히 경산의 시민 단체들을 중심으로 노선 재개를 위한 움직임이 강하게 일고 있다. 경산-동서울 노선은 다른 노선보다 특별함을 가지고 있다. 동서울터미널에서 서울 A병원까지는 10여 분의 거리로 비교적 가깝다. 경산, 청도, 시지에 살면서 가족이나 친지가 난치병으로 서울 A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는 동안 이 노선을 이용해 간병하러 다니는 생명의 노선이라고 말할 수 있다.
‘코로나19’로 ‘사회 적거리두기’의 명목으로 운행이 잠정 중단돼 환자의 가족들은 간병을 위해 경산 남산에서, 청도 동곡에서 경산까지 시골 버스를 타고 경산에서 내려 다시 동대구역이나 동대구 버스터미널로 버스를 갈아타고 다시 A병원으로 가기 위해 버스를 갈아타는 수고스러움과 시간을 소비해야만 했다.
이 현상을 두고 경산시 공무원들 가운데서도 경산은 대구와 가까워 KTX도 있고 동대구 터미널도 있고 해서 구태여 노선의 재개가 필요 없다고 말하는 사람을 종종 본다. 이것은 시민의 입장에서 당사자가 돼 절박한 심정을 헤아리지 못하고 ‘제3자적 관찰자 시점’에서 문제를 바라본 결과다. 경산 시민들은 이를 두고 시민의 공복으로서 가져야 할 자세는 아니라고 입을 모은다.
‘코로나19’ 펜더믹이 이 땅에서 종식된 지 4년이 가까워 져간다. 하지만 잠정 중단됐던 경산-동서울 간의 노선 재개는 요원하다.
경산시 남산면에 사는 M씨는 “남편이 아파서 서울 A병원에 입원해 있는데 간병 차 서울 병원에 오가는 것이 너무나 힘이 든다. 기존에 존재하던 노선을 폐쇄하면 그것을 신뢰하고 모든 계획과 패턴을 짜서 생활하던 것이 무너져 버린다. 이는 일개 버스 회사의 문제만이 아니고 노선을 허가해 준 행정청이 임무를 방기하는 ‘직무 유기’라고 할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행정청이 최초에 행정 급부로 노선을 개설해 줬으면 이 노선을 불가항력적 사유가 없는 한 계속 유지해야 하는 ‘신뢰 보호의 원칙’을 위배한 것”이라고 말하며 최대한 빠른시일내 ‘경산- 동서울 노선’이 재 운행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촉구했다.
경산시 교통행정과 관계자는 “시민들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도록 경북도의 대중교통 담당자에게 노선 재개를 위한 공문을 발송하는 한편 수시로 재개의 필요성을 건의해 노선이 재개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경북도 대중교통 담당 주무관은 “이 사안은 경기도와 협조해 진행해야 할 부분이기 때문에 경산시나 청도군에서 관련 공문으로 노선 재개를 요청하면 경기도와 적극 논의 하겠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