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감세법, 빅테크 등 대기업에 수십조원 감세 혜택 전망"

  • 잉여현금흐름 증가로 주주 이익 확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한 빅테크 수장들 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한 빅테크 수장들 [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규모 감세법이 거대 기술기업(빅테크)을 포함한 대기업들에 최대 연간 20조원이 넘는 감세 혜택을 줄 전망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 이동통신업체 AT&T는 올해 15억~20억달러(약 2조~2조7000억원) 세금 절감을 전망하며 내년에는 25억 달러, 2027년에는 30억 달러(약 4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 회사는 감세액을 통해 자사의 현금 흐름을 개선하고 있으며, 20억달러는 잉여현금흐름의 약 11%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대표 정책인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이 통과되면서 기업들은 자산의 감가상각비를 선제적으로 비용 처리하고 연구개발(R&D) 비용도 즉시 비용 처리할 수 있도록 했다. 회계에서 비용 처리된 금액이 과세표준에서 제외됨으로써 기업의 세액이 줄어드는 효과가 발생한다.
 
WSJ은 이 조치가 “미국 기업들에 즉각적인 뜻밖의 횡재뿐 아니라 앞으로도 지속될 순풍을 안겨줄 것”이라며 이런 세금 감면으로 기업들의 잉여현금흐름이 크게 증가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잉여현금흐름은 영업활동에 따른 현금흐름에서 자본지출을 뺀 액수를 말하는데, 이 돈은 부채 상환이나 자사주 매입 등에 쓰이게 된다.
 
자문 업체 자이언 리서치그룹의 설립자 데이비드 자이언은 “기업 주머니에 현금이 더 들어오고, 정부 주머니에 현금이 줄어드는 것은 이론적으로 투자자들에게 좋은 일”이라고 말했다.
 
자이언리서치는 최근 내놓은 보고서에서 메타플랫폼의 경우, 올해 절세액으로 약 110억달러(약 15조2000억원)를 확보할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메타의 잉여현금흐름의 31%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또 아마존의 경우 157억달러(약 21조7000억원)의 절세 혜택을 통해 올해 잉여현금흐름의 43%와 맞먹는 현금을 확보할 것으로 추산했다.
 
자이언리서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기업 중 모두 369곳을 표본으로 조사했는데 그 결과 감세 혜택 규모가 총 1480억달러(약 204조9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감세 혜택 전 이들 기업의 총 잉여현금흐름(추정치)의 8.5%에 해당하는 수치다.
 
또 메타와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빅테크 4곳이 누릴 감세 혜택은 추정액 1480억달러의 38%를 차지했다. 다만 이들 4개 기업은 아직 감세법에 따른 세금 절감액 추산치를 내놓지 않았다.
 
WSJ은 “기업 감세 조치와 재정적자 확대에 대한 각자의 견해가 무엇이든, 감세법은 주식시장의 가치평가를 밀어 올리는 데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