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삼성전자 등 해외 반도체 기업에도 반도체지원법(CHIPS Act)에 따른 보조금을 현금이 아닌 지분 전환 방식으로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실행될 경우 미국 현지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인 삼성전자에도 적잖은 영향이 예상된다.
로이터통신은 19일(현지시각) 익명의 취재원의 말을 빌어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미국 내 반도체 공장을 짓는 주요 제조업체에 대해 주는 보조금을 지분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대상은 한국 삼성전자, 대만 TSMC, 미국 마이크론 등이 거론된다. 최근 인텔에 대규모 보조금을 주는 대신 일부 지분을 확보하는 방식인지, 적용 시점이 언제인지에 대한 내용은 결정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전임 조 바이든 미 행정부 말기에 확정된 기업별 반도체법 보조금은 TSMC 66억 달러(약 9조2000억원), 마이크론 62억달러(약 8조6000억원), 삼성전자 47억5000만달러(약 6조6000억원) 등이다.
반도체 지원법(칩스법)에 따라 조성된 자금 527억달러에 관한 운용은 미 상무부가 책임지고 있어 향후 논의가 진행돼야 구체화될 것으로 보인다.
미 정부는 최근 트럼프 정부가 100억 달러 수준의 보조금을 이용해 인텔 지분을 인수하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보도했고, 전날에는 총 100억 달러 수준의 보조금으로 인텔 지분 10% 인수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같은 방안이 현실화하면 삼성전자 등 미국 현지 투자를 결정한 해외 반도체 기업은 미 정부의 지분 참여라는 부담을 안게 된다. 상무부의 이러한 방안은 트럼프 대통령이 바이든 전 대통령의 보조금 정책에 비판적 시선을 가진 데에서 문제의식이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로이터는 백악관과 삼성전자, 마이크론, TSMC가 논평 요청에 응답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