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계엄해제 방해' 추경호·조지연 압수수색...'인사청탁' 이봉관·박성근 동시 소환

  • 내란특검, 추경호·조지연 자택 및 사무실 압수수색...계엄 해제 의혹 수사

  • 양평 의혹 50일 만에 재압색…한학자 총재 곧 소환할듯

  • 자수서 진술 대조하며 뇌물 혐의 추궁…박 전 비서실장 참고인 조사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계엄 해제 방해 의혹과 관련해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를 겨냥한 강제수사에 나선 2일 추 의원이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내 자신의 의원실로 들어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계엄 해제 방해 의혹'과 관련해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를 겨냥한 강제수사에 나선 2일 추 의원이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내 자신의 의원실로 들어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전 대통령이 일으킨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계엄 해제 방해 의혹'과 관련해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같은 당 조지연 의원에 대한 강제 수사에 나섰다.

2일 오전 특검팀은 추 전 원내대표의 서울·대구 자택과 지역구 사무실·의원실 등에 압수수색을 벌였고, 추 전 원내대표를 수행한 당 사무처 직원의 휴대전화도 압수수색해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특검팀은 계엄 해제 방해 의혹을 수사 중인데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이 선포된 직후 추 전 원내대표 등이 윤석열 전 대통령 측의 요청을 받고 의원총회 장소를 여러 차례 변경하는 방식으로 다른 의원들의 계엄 해제 표결 참여를 방해했다고 보고 있다.

당시 추 전 원내대표는 비상 의원총회 장소를 국회로 공지했다가 여의도 당사로 변경했다. 이후 소집 장소를 다시 국회로 공지했다가 여의도 당사로 또 한 번 변경했다.

결국 추 전 원내대표가 장소를 이리저리 바꾸면서 당사에 있던 국민의힘 의원들은 계엄 해제 의결이 진행되고 있던 국회 본회의장에 들어가지 못했다. 결국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은 국민의힘 의원 108명 중 90명이나 참여하지 못하고 민주당 주도로 가결됐다.

박지영 특검보는 브리핑에서 "이번 압수수색의 피의자는 추 의원 한명"이라며 "압수수색영장이 발부될 만큼의 조사와 소명은 이뤄진 상황"이라고 수사 상황을 전했다. 

이날 특검은 조지연 의원실과 국민의힘 원내대표실도 압수수색에 나섰다. 원내부대표단 중 한 명이기도 한 조 의원은 계엄 해제 표결 당시 추 전 원내대표와 함께 원내대표실에 머무른 것으로 알려졌다. 조 의원은 내란 중요임무 종사 등 혐의로 기소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 계엄 당일 통화한 사실도 드러났다. 

한편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이날 이봉관 서희건설 회장과 박성근 전 국무총리 비서실장을 동시에 불러 조사에 나섰다.

이 회장은 피의자 신분으로 앞서 제출한 자수서에 기초해 뇌물 공여 혐의를 추궁받고 있다. 특검은 자수서 진술과 실제 진술이 얼마나 일치하는지 따져보며, 서희건설 인사청탁이 어떻게 이뤄졌는지 김 여사와 어떤 연계성이 있었는지 집중적으로 확인할 방침이다.

박 전 비서실장은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했다. 특검은 그가 인사청탁 과정에서 금품 전달 사실을 알았는지를 확인하는 데 조사의 무게를 두고 있다.

박상진 특검보는 이날 브리핑에서 "이봉관 회장은 진술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았고 건강 상태도 조사에 지장을 줄 정도가 아니다"라며 "박 전 비서실장 역시 현재로서는 참고인 신분"이라고 밝혔다. 특검 안팎에서는 이 회장의 자수서와 진술 내용, 박 전 비서실장의 진술이 맞물릴 경우 사건 전모가 드러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수사는 동시에 양평고속도로 종점 변경 의혹으로 확장됐다. 특검은 이날 오전부터 국토교통부 김 모 서기관의 주거지와 원주지방국토관리청 등 5곳을 압수수색했다. 지난 7월 14일 1차 압수수색 이후 50일 만의 강제수사다. 김 서기관은 2023년 사업 당시 용역업체에 노선 변경을 제안한 인물로 알려졌다.

특검은 "범죄 혐의를 달리해 압수수색할 필요성이 있었다"며 "새로운 피의자가 특정된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번 압수수색은 국토부가 2023년 5월 기존 원안이 아닌, 김 여사 일가 토지가 몰려 있는 강상면 노선을 새로 검토하면서 불거진 특혜 논란을 규명하려는 수사의 연장선이다.

또한 특검은 한학자 통일교 총재에게 조만간 출석을 요구할 전망이다. 한 총재는 윤영호 전 통일교 세계본부장을 통해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과 김 여사에게 금품을 건네고, 교단 현안을 청탁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특검은 윤 전 본부장을 구속기소하며 2022년 대선 직전 교단 지휘부를 모아 윤석열 당시 후보 지지를 선언했고, 이후 교단 자원을 동원했다는 취지의 공소 내용을 적시한 바 있다. 

특검은 김 여사 직접 조사에 대해서도 "필요성은 분명하다"며 가능성을 열어뒀지만, 구체적 시기는 확정되지 않았다. 향후 특검이 자수서 검증, 노선 변경 의혹, 통일교 자금 흐름까지 '3축 수사'를 병행하면서 여사 직접 조사 여부와 시점이 최대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