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기획재정부.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정부는 공공기관의 인공지능(AI) 활용을 촉진하고 성과 창출 우수기관에 대한 경영평가·포상 등과 연계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강화하겠다고 3일 밝혔다.
안상열 기획재정부 재정관리관은 이날 프로트원에서 신용보증기금의 AI 기반 보증심사 점검하고 공공기관 AI 도입·활용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현장 점검은 공공기관의 AI 활용을 활성화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 혁신을 확산하기 위한 '새정부 경제성장 전략'의 일환이다.
안 재정관리관은 "AI 기술이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라며 "기업·공공·국민 등 전 분야에 AI를 접목하는 'AI 대전환'은 '새 정부 경제성장 전략'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난 7월 말 마련한 '공공기관 AI 활용 활성화 방안'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공공기관운영위원회 산하에 AI 소위 신설을 위한 운영 규정 개정과 AI 서포터즈 구성 선도기관 지정 등 정책 지원체계를 마련해 가고 있다"며 "현장을 찾아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고 있다"고 전했다.
안 재정관리관은 AI모델 적용을 통한 공공기관 혁신을 강조했다. 그는 "신용보증기금은 금융 공공기관 중 선도적으로 AI 모델을 보증심사에 적용해 심사 기간을 단축하고 부실 위험 예측 정확도를 높이는 등 구체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있는 금융 공공기관 혁신의 모범사례"라며 "신용보증기금의 사례가 타 금융기관과 공공기관으로 확산할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말했다.
정부는 이번 현장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기관의 AI활용 활성화를 촉진하고 성과 창출 우수기관에 대한 경영평가·포상 등과 연계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강화할 방침이다. 또한 올해 말까지 중소기업 기술마켓 내 'AI 전용관'을 구축해 공공기관 간 협력 AI 활용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안상열 기획재정부 재정관리관은 이날 프로트원에서 신용보증기금의 AI 기반 보증심사 점검하고 공공기관 AI 도입·활용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현장 점검은 공공기관의 AI 활용을 활성화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 혁신을 확산하기 위한 '새정부 경제성장 전략'의 일환이다.
안 재정관리관은 "AI 기술이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라며 "기업·공공·국민 등 전 분야에 AI를 접목하는 'AI 대전환'은 '새 정부 경제성장 전략'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난 7월 말 마련한 '공공기관 AI 활용 활성화 방안'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공공기관운영위원회 산하에 AI 소위 신설을 위한 운영 규정 개정과 AI 서포터즈 구성 선도기관 지정 등 정책 지원체계를 마련해 가고 있다"며 "현장을 찾아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고 있다"고 전했다.
정부는 이번 현장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기관의 AI활용 활성화를 촉진하고 성과 창출 우수기관에 대한 경영평가·포상 등과 연계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강화할 방침이다. 또한 올해 말까지 중소기업 기술마켓 내 'AI 전용관'을 구축해 공공기관 간 협력 AI 활용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