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 태안군이 지역 최대 숙원사업인 가로림만 해상교량 건립을 정부의 ‘국가균형성장 종합계획’에 반영해 달라고 공식 건의했다.
군에 따르면 가세로 태안군수와 가로림만 해상교량 건립 추진위원회 김원대 민간위원장은 지난 3일 세종시 지방시대위원회를 방문, 김경수 위원장을 만나 교량 건립의 필요성과 지역적 절박성을 설명하며 우선순위 사업 지정을 요청했다.
국가균형성장 종합계획은 ‘지방자치분권 및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해 수립되는 법정계획으로,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가 총괄한다. 지역 불균형 해소와 전국적 균형발전 전략의 핵심 청사진으로 꼽힌다.
가로림만 해상교량은 태안군 이원면 내리 만대항과 서산시 대산읍 독곶리를 총연장 2.7km 규모의 교량으로 연결하는 사업이다. 태안군민이 50년 가까이 염원해 온 숙원으로, 민선 7·8기 ‘광개토 대사업’의 마지막 과제이기도 하다. 올해 1월 국도·국지도 건설계획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에 오른 데 이어 8월에는 정부의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도 포함되면서 사업 추진 기대감이 커졌다.
가세로 군수는 “올해부터 태안 석탄화력 1~8호기의 단계적 폐지가 시작되면 세입 180억 원 감소와 인구 3천 명 유출, 총 11조 900억 원 규모의 지역경제 손실이 예상된다”며 “고속도로와 철도가 없는 태안군의 교통망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라도 해상교량 건설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강조했다.
태안군은 지난해 1770만 명이 찾은 서해안 대표 관광지이자 생활인구가 전국 인구감소지역 중 상위권에 오를 만큼 활력이 높지만, 북쪽 관문이 바다로 단절돼 접근성이 크게 떨어진다. 이에 따른 의료·생활 서비스 격차도 심화되고 있다.
교량이 완공되면 태안 이원면에서 송악IC까지 이동시간이 105분에서 35분으로 단축돼 수도권 1시간 생활권에 진입하게 된다. 동시에 국도 단절구간 해소로 서해안 스마트 하이웨이 축이 완성돼 국토 활용 효율성도 높아질 전망이다.
가 군수는 “가로림만 해상교량 건립은 단순한 SOC 사업을 넘어 태안의 생존과 미래 발전을 결정짓는 핵심 인프라”라며 “국가균형성장 종합계획에 반드시 반영돼 충남 서해안권 발전의 기폭제가 될 수 있도록 군민과 함께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