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오후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경기도-프로스포츠구단 ‘다회용기 사용 협약식’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4일 경기도-프로스포츠구단 ‘다회용기 사용 협약식’에참석해 "도청을 일회용기 반입이 없는 청사로 만든 지 2년 반이 넘었다"며 "불특정다수인이 찾는 프로 경기장에서 다회용 컵과 용기를 도입하는 것은 매우 뜻깊은 시도"라고 강조했다. 이어 "협조해 주신 18개 구단 관계자들께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경기도와 도내 프로축구·야구·농구·배구 등 18개 프로구단은 다회용기 사용 확대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경기장 내 모든 식음료점과 주변 푸드트럭까지 다회용기를 도입하는 이번 협약은 전국 최초 사례다.
현재 수원KT위즈파크와 수원월드컵경기장 일부에서 시범 운영 중이던 다회용기는 이번 협약을 통해 경기도 전역 프로스포츠 경기장으로 확대된다.
협약식에는 축구 국가대표 출신 최순호(수원FC), 박경훈(수원삼성블루윙즈) 단장을 비롯해 농구의 임근배 단장(용인삼성생명) 등 왕년의 스타플레이어들이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특별 내빈으로는 탁구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유승민 대한체육회장이 함께했다.
4일 오후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경기도-프로스포츠구단 ‘다회용기 사용 협약식’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협약서 서명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경기도는 K-스포츠의 요람으로 불릴 만큼 다양한 인기 구단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관중 증가와 함께 경기장 폐기물도 연간 1만 톤 이상 발생한다. 이 중 상당량이 도내 경기장에서 발생하고 있어, 폐기물 감축을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
실제로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다회용기를 사용한 결과 반납률 98%를 기록하며 경기당 평균 5200개의 일회용기 사용을 줄였다. 이를 통해 1036kg의 폐기물을 감축했다. 도는 전 구단으로 확산할 경우 약 120만 개 다회용기 사용으로 연간 66톤의 폐기물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관중이 음식을 다 먹은 뒤 반납함에 용기를 넣으면, 대여업체가 이를 수거·세척한 뒤 다시 공급하는 방식이다. 구단들은 원활한 회수를 위해 경기장 내 반납 부스를 설치할 계획이다.
김동연 지사는 "기후위기 대응은 정책이 아니라 생활 속에서 체화되는 것이 성패를 가른다"며 "프로구단과 함께 시작한 이번 변화가 도민들의 일상으로 확산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