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정부가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이 백지화 수순을 밟으며, 대안으로 ‘동남권산업투자공사’ 설립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하자, 부산 정치권과 경제계가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명백한 대통령 공약 파기이자 부산시민을 기만하는 결정”이라고 규정했고, 국민의힘 부산시당 역시 “부산 시민의 숙원을 짓밟는 처사”라며 즉각 철회를 촉구했다.
박 시장은 17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부산 시민은 날림 부실 금융기관인 동남권투자공사가 아니라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을 원한다”며 “사탕발림으로 지역 발전의 근원적 해결책을 외면한 것”이라고 직격했다.
그는 “산업은행 부산 이전은 고(故) 노무현 대통령의 균형발전 정책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민주당이 앞장섰던 정책”이라며 “정략적 계산으로 외면하지 않았다면 이미 실현됐을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박 시장은 산은 이전의 필요성을 산업구조 전환과 신산업 육성과 직결된 핵심 과제로 강조했다.
그는 “산업은행이 부산에 들어오면 AI 데이터센터 등 대규모 투자를 계획한 빅테크 기업들이 연쇄적으로 입지를 검토하고 있었다”며 “이는 단순한 금융기관 유치가 아니라 지역 경제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메기 효과’”라고 설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후보 시절 제시한 ‘동남권투자은행’ 공약에 대해서도 비판 수위를 높였다.
박 시장은 “그때도 ‘고래를 참치로 바꾸는 격’이라고 경고했는데, 이제 와서는 은행도 아닌 투자공사를 세운다고 한다”며 “부산 시민을 기만하는 것과 다름없다”고 말했다.
특히 △초기 출자 중심 구조의 자금 조달 한계 △간접 금융 위주의 제약 △기존 금융기관과의 기능 중복 △고위험·부실 가능성 △지역기업 파급 효과 부족 등을 문제점으로 제시하며 “과거 정책금융공사의 실패를 답습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민의힘 부산시당도 이날 성명을 내고 “산업은행 부산 이전은 지역 일자리 창출과 금융중심지 활성화를 이끌 중차대한 과제였다”며 “정권이 바뀌었다고 이를 없던 일로 뒤집는 것은 명백히 잘못된 결정”이라고 반발했다.
시당은 “산업은행 부산 이전은 수도권 집중을 완화하고 국가균형발전을 이끌 전략적 정책이었다”며 “백지화 수순이 이재명 정권의 정책 기조와 부합하는지, 민주당 부산시당 역시 이에 동조할 것인지 분명히 밝혀야 한다”고 압박했다.
부산 정치권은 한목소리로 “325만 부산시민은 날림 부실 금융기관이 아닌, 산업은행 부산 이전을 원한다”며 “정부는 공약 파기를 철회하고 즉각 부산 이전 계획을 재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